산업 바이오

알츠하이머성 치매 막는 신약 후보물질 발견

KIST 연구진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알츠하이머병)의 신약으로 쓸 수 있는 후보 물질을 찾았다. 알츠하이머병은 뇌세포가 죽어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질환으로 이번 발견으로 치료약 개발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영수(사진 왼쪽), 양승훈 박사팀이 ‘네크로스타틴-원’(Necrostatin-1)이라는 화학물질이 쥐의 알츠하이머병 증상을 정상 수준으로 되돌릴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속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이상 현상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졌다. 두 단백질이 각각 엉겨 붙어 생기는 ‘응집체’가 뇌 속에 쌓이는 것이 대표적이다.

관련기사



이번에 연구진이 찾은 물질은 두 단백질의 이상 현상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쥐에게 이 물질을 3개월간 주사하자 뇌에 쌓인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응집체 양이 감소했다. 타우 단백질에 인산이 정상보다 많이 붙는 현상 역시 억제됐다. 그 결과 쥐의 뇌세포가 죽지 않았고, 쥐의 인지기능도 개선됐다. 지금까지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을 각각 타깃으로 한 신약 후보물질은 개발됐지만 두 단백질을 동시에 억제하는 경우는 처음이다.

김영수 박사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에 더욱 힘쓸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전임상 및 임상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