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화웨이 품은 LGU+·KT IoT 동맹

LGU+와 칩셋·모듈 공동개발

한국업체에 10만개 무상 배포

"선도시장 韓서 세계 표준 선점"

SKT '로라' 진영과 본격 승부

LG유플러스가 21일 서울 상암동 사옥에서 중국 화웨이와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오픈랩’ 개소식을 갖고 소음·미세먼지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스마트팜 등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LG유플러스가 21일 서울 상암동 사옥에서 중국 화웨이와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오픈랩’ 개소식을 갖고 소음·미세먼지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스마트팜 등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KT와 같이 추진하는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동맹군에 중국 화웨이를 끌어들였다. 경쟁사인 SK텔레콤의 로라(LoRa) 진영에 맞서 국내와 글로벌 시장에서 IoT 표준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화웨이는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을 발판 삼아 외국 IoT 시장으로 뻗어 나가겠다는 계산이다.


LG유플러스는 21일 서울 마포구 상암사옥에서 화웨이와 공동으로 기자 간담회를 열고 NB-IoT 협력 방안을 발표하고 외부 업체들에게 기술과 장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오픈랩에서는 개발은 물론 사업 아이디어 구체화, 3차원(3D) 프린팅 등을 통한 시제품 제작, 영업·마케팅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NB-IoT는 기존 LTE 망의 좁은 대역을 이용해 150 kbps 이하의 전송 속도, 8km 이상 장거리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안정성이 높아 스마트 가로등·미터링 등 활용이 가능하다.

관련기사



양사는 공동으로 IoT용 칩셋·모듈 10만 개를 개발해 내년 4월부터 IoT 관련 단말기나 서비스를 만드는 업체에게 무상으로 나눠주기로 했다. 이날 이상민 LG유플러스 FC본부 기술개발부문 전무는 “가스·수도검침 등 간단한 서비스부터 먼저 상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청(Zhu Cheng) 화웨이 셀룰러 IoT 제품 라인 사장은 “중국을 비롯해 미국과 유럽, 중동에 NB-IoT 오픈랩 7개가 문을 열었는데 칩셋·모듈 10만 개를 개발해 무상으로 지원하는 것은 한국 시장이 유일하다”며 “IoT 선도 시장인 한국에서 성공하고, 이를 발판 삼아 글로벌 시장으로 나가겠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화웨이는 지난해 12월 영국의 글로벌 통신사인 보다폰, 스위스의 반도체 기업인 유블럭스와 공동으로 세계 최초로 NB-IoT 잠정표준의(정식 표준화 이전 단계) 상용화 시연에 성공했다. 또 내년 1월에는 NB-IoT 전용 칩셋을 출시할 예정이다. 다만 주 청 사장은 “LG유플러스와의 협력이 중심”이라고 강조했다. 화웨이는 유·무선 통신장비와 중·저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PC 및 주변기기, 프리미엄 스마트폰까지 제품군을 확장하고 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