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최순실 불똥' 지원 절벽에 떠는 창조센터 입주사들 "창업 생태계 구축 노력은 이어져야"

예결위 365억 심사 보류 이어

지자체 줄줄이 편성 철회·삭감

기업도 지원축소 발빼기 수순

"언제 사무실 없어질 지 몰라 걱정"

22일 서울 광화문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 마련된 업무 공간에서 예비 창업가들이 모여 사업 준비에 여념이 없는 모습이다./사진=권용민 기자22일 서울 광화문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 마련된 업무 공간에서 예비 창업가들이 모여 사업 준비에 여념이 없는 모습이다./사진=권용민 기자




22일 서울 광화문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컨퍼런스룸에 스타트업 대표들이 모여 기업공개(IPO) 및 인수합병(M&A) 설명회를 듣고 있다,/사진=권용민 기자22일 서울 광화문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컨퍼런스룸에 스타트업 대표들이 모여 기업공개(IPO) 및 인수합병(M&A) 설명회를 듣고 있다,/사진=권용민 기자


“스타트업·창업 생태계가 움츠러 들고 있어 안타깝습니다.”(송용준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팀장)

22일 찾은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최순실게이트’ 의 불똥이 창조경제 정책으로 튀는 와중에도 여전히 분주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메인홀에는 예비 창업가들이 모여 사업 준비에 여념이 없었고, 컨퍼런스홀도 보육기업 기업공개(IPO)와 인수합병(M&A) 설명회를 듣기 위한 스타트업 관계자들로 북적였다.


하지만 일부 입주기업들이나 예비 창업자들은 불안한 속내를 비추기도 했다. 최순실게이트의 핵심인 차은택씨가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장으로 활동하며 전국 17개 센터 홈페이지 구축 사업을 도맡는 등 이권에 개입한 것으로 드러나 창조센터의 이미지가 추락했기 때문이다. 공공기관장 인사나 각종 이권 개입 등 최순실게이트가 ICT(정보통신기술)와 과학기술계로 확산되는 것도 부담 요인이다. 한복 브랜드를 만드는 기선경 에올라타 대표는 “언제 사무실이 빠질줄 모르니 걱정된다”며 “센터 커뮤니티라든가, 서로 공유하는 정보가 사라지면 큰 문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실제 국회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들이 창조경제 관련 예산 삭감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대기업들마저도 한 발 빼려 하고 있다. 국회 예산결산특위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창조경제 관련 2017년도 예산안 1,426억9,500만원 중 365억3,700만원에 대한 심사를 보류하고 재심사키로 했다. 야당이 ‘최순실 예산’ 삭감을 벼르고 있는 만큼 큰 폭의 예산 삭감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래부는 내년 창조경제 사업 예산으로 올해(862억8800만원)보다 564억700만원을 늘린 예산안을 요청했다. 하지만 서울시는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 예산 20억원을 전액 편성 철회하고, 경기도의회와 전남도의회는 각각 7억5,000만원과 10억원의 창조센터 예산을 삭감했다. 충청도와 제주도, 인천시의회 등에서도 관련 예산을 삭감하자는 분위기다. 특히 한진그룹이 맡고 있는 인천 등 일부 센터에서는 기업 지원마저 줄어들고 있다. 오세정 국민의당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545억6,900만원이던 센터별 전담 대기업의 기부금은 올해 8월까지 160억1,000만원으로 대폭 축소됐다. 대기업의 한 관계자는 “관에서 예산이 삭감되면 기업들도 자연스레 발을 빼는 수순으로 이어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스타트업 측은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랴’라며 지원을 요청했다. 정보기술(IT) 기반 스타트업인 스마트킹의 송문택 대표는 “창업기업은 꾸준히 노력해야 투자·판로 등의 길이 열리는데 지원이 줄어들면 성과를 내기 힘들다”며 우려했다. 인천혁신센터의 그린아이엠티 김두자 대표는 “60살에 기술만 갖고 사업에 뛰어들었는데 체계적 시스템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며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젊은이를 위해 센터 운영은 계속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태석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기획국장은 “지자체에서 예산을 삭감하는 것은 정부 예산이 삭감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라며 “국회 심의가 끝나면 지자체에 협조를 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