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무성 불출마] 金, 새판짜기 승부수...非박·非문과 제3지대 주도 나서나

어떠한 발언도 진정성 의심받아

대선주자 타이틀 벗어 버리고

메카톤급 영향주는 행보 펼칠듯

조만간 탈당 대열에 합류 가능성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가 2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한 뒤 기자회견장을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가 23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한 뒤 기자회견장을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여권의 유력 대선 주자로 꼽혀온 김무성 전 대표가 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것이 독이 될지, 아니면 새로운 기회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 전 대표의 불출마 결단은 우선 차기 대선 주자라는 타이틀에 더 이상 얽매이지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당내 내홍 수습을 위해 어떤 발언과 행보를 해도 내년 대선과 연관 지어 해석되다 보니 진정성이 의심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지만 대선 주자 타이틀을 벗으면서 앞으로 과감하게 대통령 탄핵이나 탈당·개헌까지 국내 정치지형에 메가톤급 영향을 미치는 행보를 서슴없이 해나가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23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김 전 대표가 대선 주자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대통령 탄핵이나 개헌, 보수세력 재구축 추진 등 하는 일마다 진정성을 의심 받아 당 안팎의 호응을 받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며 “앞으로 이런 행보가 좀 더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당 잔류와 남경필 지사, 김용태 의원의 탈당을 지켜보면서 중간에서 저울질해오던 김 전 대표가 불출마를 선언한 것은 결국 탈당파에 힘을 실어준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렇게 되면 김 전 대표도 조만간 탈당 대열에 합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윤 센터장은 “여론 흐름상 당 지지율은 계속 떨어지는데 잔류를 한다고 해도 내년 대선이나 다가올 총선에서 지지층 회복을 기대하기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차라리 탈당을 해서 중도보수를 규합해 재창당하는 쪽이 김 전 대표에게는 유리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 김 전 대표는 탈당 여부에 대해 확답하지 않으면서도 “한계점이 오면 결국 보수의 몰락을 막기 위해 결단할 수밖에 없고 그것은 탄핵과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탄핵안 발의·의결 시점을 전후해 탈당을 결행할 수 있다는 여지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김 전 대표가 남 지사와 김용태 의원 등 탈당파에 합류하면서 교섭단체까지 구성할 경우 이른바 제3지대의 구심 역할도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서양호 두문정치전략연구소 소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탄핵과 개헌 등을 매개로 김 전 대표의 새누리당 탈당파와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손학규 전 더민주 대표, 비문재인계인 김종인 더민주 의원에 이어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등이 합류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보수와 진보 진영에서 친박과 친문으로 대표되는 양 극단세력을 배제한 합리적 보수세력의 결집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전 대표는 이날 “보수의 썩은 환부를 도려내고 합리적인 보수 재탄생의 밀알이 되고자 한다”며 “이걸 바탕으로 양극단 정치를 배제하고 민주적 협치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 전 대표의 이날 결단을 개헌과 연관 짓는 시각도 있다. 부산경남(PK) 지역의 현역 최다선으로 입지를 다진 그가 ‘지역의 맹주’를 발판으로 내각제 개헌 이후 실권을 쥔 국무총리를 노리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김 전 대표는 이날 “백척간두진일보, 십방세계현전신(百尺竿頭進一步, 十方世界現全身)”를 인용했는데 ‘까마득한 절벽 끝에 서서 한걸음 내디디면 새로운 세계가 열린다’는 뜻이다. 벼랑 끝에서 내린 정치적 승부수가 당장은 정치적 자살 행위로 보일 수 있지만 중도보수의 새로운 맹주로 떠오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내비친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