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최수문기자의 Travelogue] 북한관광은 금강산 뿐만은 아냐…통일시대 관광개발 구상 세워야

북한의 지역경제를 관광으로 살릴 수 있을까. 금강산이나 개성만의 문제가 아니다. 북한 관광시장 자체를 대상으로 하는 본질적 문제다. 기자는 최근 경기대 관광종합연구소(소장 고동완)가 개최한 ‘통일 시대의 관광과 국가경쟁력 포럼’에 참가하면서 북한 관광을 생각해봤다. 지금까지 ‘북한 관광 문제’라고 하면 금강산에 한정됐다. 금강산 관광이 재개되나 안 되나에 주로 초점이 맞춰졌다. 이제는 좀 더 넓게 생각하자. 북한도 막대한 관광자원을 가지고 있다. 남한 지역 못지않다.

이날 주제 발표한 김성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경영기획실장은 북한 관광시장의 주도권이 금강산 관광 중단과 함께 중국으로 넘어갔다고 주장하며 아쉬워했다. 지난 1980년대 관광시장을 개방하고 나서 북한을 찾은 주축은 일본인이었다. 반전은 1998년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면서다. 북한이 관광에 본격적으로 눈을 뜬 때다. 2008년 중단될 때까지 10년 동안 한국 관광객 총 195만명이 금강산을 방문했다. 개성 관광(2007~2008년)에 참여한 사람은 10만명이다. 하지만 한국이 떠난 2008년 이후 북한 관광시장은 중국에 좌지우지되고 있다.

이날 참석자들은 북한 관광자원에 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한 형편이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했다. 물론 북한의 정보라는 것이 쉽게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더욱 큰 문제는 우리 정부의 의지가 없다는 것이다.


기자가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남북한의 교류는 스포츠와 문화·역사 교류에 한정돼 있다. 물론 금강산 관광은 관광 부문이기는 하지만 문체부 관할이 아니다. 통일부를 주축으로 하는 전 부처의 관심사항이다. 그렇다고 해서 문체부가 북한 지역 관광과 통일시대 관광에 대해 손 놓고 있는 것을 합리화하는 것은 잘못이다. 현재 남북관계는 북핵 문제로 최악의 상황이지만 모든 것에 반전이 있는 법이다. 정부는 물론이고 관련 학회나 업계에서도 북한 관광에 대한 ‘대비’는 반드시 필요하다.

관련기사



관광이라고 했을 때 반드시 남한 사람이 북한 지역에 ‘놀러 간다’는 범위에서만 생각할 필요는 없다. 남북한 사람들이 만나 교류하는 것도 관광이다. 이날 심원섭 목포대 교수는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를 제안하기도 했다.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통일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키우는 작업이기도 하다. 남한만으로는 인구와 자원에서 경제성을 가지기가 불리하다. 북한을 더했을 때는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한반도 전체를 조망하는 관광개발계획이 필요한 이유다.

통일은 생각보다 빨리, 갑자기 올 수도 있다. 통일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해 두려워하기 전에 하나씩 하나씩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현지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관광개발이 북한 지역을 안정시킬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이 아닐까 한다.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