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최순실, 김영수 전 포레카 대표에 '증거인멸' 지시했다

최순실, 김영수 전 대표에 독일서 전화로 '증거인멸' 지시

檢, 김영수·김홍탁 모스코스 대표 등 3명 추가 기소 방침

박근혜 정부 비선실세 최순실씨/이호재 기자박근혜 정부 비선실세 최순실씨/이호재 기자


최순실씨(60)의 측근 차은택씨(47) 등과 함께 포스코 계열 광고회사 포레카 강탈 시도에 개입한 혐의를 받는 김영수 전 포레카 대표(46)가 독일로 도피 중이던 최씨의 지시를 받고 국내에서 증거인멸 작업에 착수했었다고 24일 경향신문이 보도했다. 그간 차씨가 주도해 포레카 강탈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실제로는 최씨가 김 전 대표를 통해 전반을 통제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23일 매체에 따르면, 지난 9월말~10월초 경 국내 언론의 보도가 잇따르자 독일에 체류하던 최씨는 증거인멸에 나섰다. 10월25일 최씨는 독일에서 김 전 대표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더블루K’(최씨의 개인회사)에서 가져온 컴퓨터 5대를 모두 폐기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김 전 대표는 가족과 지인들을 동원해 최씨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메모리 카드를 모두 포맷하고 망치로 여러 차례 내리쳐 부쉈다.

그런데 최씨의 공소장에 나와 있는 증거인멸을 실행한 사람들 중 핵심 인물은 차씨가 아닌 김 전 대표라는 주장이 나왔다. 김 전 대표는 최씨의 지시를 받아 국내에 있는 최씨의 흔적을 없애주려 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김 전 대표는 더블루K 소유의 컴퓨터들을 처음에 경기 구리시로 가져갔다가 다시 서울 구로구로 옮기는 등 검찰의 눈을 피하고자 동선도 수차례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20일 최씨를 증거인멸교사 혐의도 적용해 기소했다. 최씨는 검찰 조사에서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들이라 ‘치워버리라’고 한 것”이라면서 “그게 죄가 되느냐”고 따져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검찰은 최씨가 미르·K스포츠 재단 등과 관련된 각종 부정행위가 담긴 물증을 없애려는 시도로 봤다.

관련기사



김 전 대표는 2014년 3월 포스코그룹 계열사 임원 인사 때 포레카 사장으로 임명된 인물이다.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57)의 측근이자 2012년 박근혜 대선캠프에서 활동한 이력 때문에 당시 ‘낙하산 인사’ 논란이 일기도 했다. 지난해 김 전 대표는 최씨의 포레카 강탈 시도에 적극 가담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기업 광고를 수주해 이권을 챙기려던 최씨는 지난해 1월 ‘모스코스’란 회사를 세운 뒤 포레카 인수를 시도했다.

박 대통령도 직접 나서 같은 해 2월 안 전 수석에게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인) 포레카가 대기업에 넘어가지 않도록 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중소 광고회사인 A사가 포레카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최씨의 시도는 난항을 겪는 듯 보였다. 이후 최씨는 A사 대표 B씨에게서 포레카 지분을 강제로 넘겨받기로 계획을 세워 “포레카 지분을 넘기지 않으면 세무조사를 통해 A사를 없애고 B씨를 묻어버릴 수도 있다” 협박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A사가 포레카를 최종 인수하면서 최씨와 김 전 대표의 강탈 시도는 미수에 그쳤다.

이날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김 전 대표와 김모 전 모스코스 이사 등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앞서 구속된 차씨와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58) 외에 김 전 대표와 최씨가 실소유주인 모스코스의 김홍탁 대표(55), 김모 전 모스코스 이사 등 포레카 강탈 사건에 개입한 3명을 추가로 기소할 방침이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