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미 백악관·국방부 등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환영"

23일 한일정보보호협정 서명을 위해 서울 용산구 국방부를 방문한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가 출입문 앞에 서 있는 사진기자들 사이로 걸어가고 있다. 이날 우리 정부는 한일정보보호협정 서명식 등의 취재를 요청하는 기자들에게 협정 내용을 공개할 수 없으며 서명 체결 사진도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사진기자들은 비공개 방침에 따를 수 없다며 취재를 거부했다. /연합뉴스23일 한일정보보호협정 서명을 위해 서울 용산구 국방부를 방문한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가 출입문 앞에 서 있는 사진기자들 사이로 걸어가고 있다. 이날 우리 정부는 한일정보보호협정 서명식 등의 취재를 요청하는 기자들에게 협정 내용을 공개할 수 없으며 서명 체결 사진도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사진기자들은 비공개 방침에 따를 수 없다며 취재를 거부했다.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한일 양국이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을 체결한 것을 두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

23일(현지시간) 네드 프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미국의 아시아 두 동맹인 한국과 일본 간의 GSOMIA 체결을 환영한다”면서 “이는 북한의 위협에 맞서 양국 간은 물론 한미일 3국 간의 협력도 강화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어 “미국은 역내 동맹과의 긴밀한 공조 하에 유엔 안보리 결의안 이행 등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도 성명을 내고 “이번 협정으로 두 나라 간의 정보공유가 확대되고 협력이 강화될 것”이라면서 “적절한 안보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두 나라는 북한의 침략에 대비한 방위태세를 향상시키고, 또 지속적인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맞서는 자체 방어능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피터 쿡 국방부 대변인도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그동안 한국과 일본 양국 간의 안보협력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을 지지해 왔다”면서 “이번 군사정보보호협정은 매우 중요하고 긍정적인 조치”라고 평가했다.

미국 정부는 그동안 한미일 3각 협력과 더불어 한일 양국 간의 협력 확대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는 23일(한국시간 기준) 서울 용산구 국방구에서 만나 협정에 최종 서명했다. 이 협정은 1945년 광복 이후 한국과 일본이 체결한 첫 군사협정이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