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가계빚 1천300조 넘었다, 3분기 말 신용 잔액 ‘1천295조8천억원’ 어쩌나

가계빚 1천300조 넘었다, 3분기 말 신용 잔액 ‘1천295조8천억원’ 어쩌나가계빚 1천300조 넘었다, 3분기 말 신용 잔액 ‘1천295조8천억원’ 어쩌나




국내 가계가 짊어진 빚이 급증세를 멈추지 않으면서 지난달 말 현재 1천3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가계부채의 연착륙을 위해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비롯한 각종 대책을 내놓았지만 3분기 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사상 최대인 11조원 넘게 폭증하는 등 이른바 ‘풍선효과’가 더욱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3분기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이 1천295조8천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한국은행이 가계신용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래 잔액기준으로 최대 규모.

9월 말 가계신용 잔액 1천295조8천억원에 10월 중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만 7조5천억원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10월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1천300조원을 훨씬 넘어섰을 것으로 보인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짊어진 빚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통계.

가계가 은행이나 보험, 대부업체, 공적금융기관 등 금융회사에서 받은 대출뿐 아니라 결제 전 신용카드 사용액과 할부금융 등 판매신용까지 합친 금액으로 알려졌다.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2분기 말 1천257조6천억원보다 38조2천억원(3.0%) 증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3분기의 가계신용 증가액은 2분기 증가액 33조9천억원보다 4조3천억원 많은 수준이며, 사상 최대였던 작년 4분기 증가액 38조2천억원과 비슷한 규모.

작년 3분기 말의 가계신용 잔액 1천164조9천억원과 비교하면 1년 새 130조9천억원(11.2%)이나 급증한 것. 1년간 증가액 130조9천억원도 사상 최대를 보였다.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은 3분기 말 잔액이 1천227조9천억원으로 2분기 말보다 36조2천억원(3.0%) 증가했다.

이는 작년 4분기 36조5천억원에 이어 2번째로 큰 규모로 확인됐다.


금융권별로 보면 예금은행은 3분기 말 잔액이 603조9천억원으로 2분기 말보다 17조2천억원이나 늘면서 600조원 선을 넘어섰다.

관련기사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3분기 중 13조4천억원 증가해 잔액이 433조6천억원을 돌파했다.

은행의 기타대출은 170조4천억원으로 3분기 중 3조8천억원 증가했다.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농협,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은 3분기 말 현재 277조7천억원으로 2분기 말보다 11조1천억원이 늘었따.

분기 기준 사상 최대의 증가 폭인 것.

대출심사 강화로 은행의 대출을 받기 어렵게 된 가계가 상대적으로 대출금리가 높은 2금융권에 몰린 탓으로 보인다.

금리가 높은 2금융권의 대출이 늘어남에 따라 앞으로 금리가 오르면 이들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2금융권에선 주택담보대출의 증가 폭이 전 분기보다 줄어든 반면 기타대출의 증가 폭은 더욱 커지고 있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은 3조7천억원 증가한 110조8천억원이었으나, 기타대출은 167조원으로 사상 최대인 7조5천억원이나 늘었다.

업권별로는 새마을금고의 가계대출 잔액 증가 규모가 2분기 2조9천억원에서 3분기 3조4천억원으로 증가했다.

보험, 증권, 카드 등 기타 금융기관은 3분기 중 7조9천억원 늘어난 346조2천억원으로 확인됐다.

판매신용 잔액은 3분기 말 현재 67조9천억원으로 집계돼 2분기 말보다 1조9천억원 증가했다.

추석 연휴의 소비 확대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신용카드는 1조4천억원 늘어 증가 규모가 2분기(7천억원)의 2배에 달했고 할부금융도 8천억원 늘었지만 백화점, 자동차회사 등 판매회사는 2천억원 줄어 들었다.

이상용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모니터링 결과 은행권의 대출규제가 강화되면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사람들이 2금융권 특히 새마을금고 쪽으로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