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순실 게이트]물건너간 '朴 대면조사' 고민깊은 檢 다음카드는

조사요청 또 거부...특검 넘어갈판

朴 측근 수사 확대 '초강수' 예상도

“29일까지 대면 조사해야 한다”는 검찰 수사 요청을 박근혜 대통령 측이 28일 끝내 거부하면서 검찰의 고민이 한층 깊어지고 있다.

검찰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둘러싼 ‘제3자 뇌물죄’ 등을 입증하기 위해 그동안 삼성·롯데·SK 등 대기업 압수 수색은 물론 주요 참고인 소환 조사에 집중해왔다. 하지만 제3자 뇌물죄 등 주요 혐의를 밝히기 위해 검찰이 ‘필수불가결하다’고 지목한 박 대통령에 대한 대면 조사를 끝내 이루지 못한 채 수사 ‘바통’을 특검에 넘겨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역대 최대 규모의 수사진을 꾸리는 등 그동안 검찰이 몇 달간 공들인 탑이 박 대통령의 대면조사 ‘수용 거부’에 한순간에 무너진 셈이다.


그만큼 박 대통령에 대한 대면 조사는 검찰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수사에 있어 ‘핵심’이었다. 수사 일정을 미루고, 박 대통령을 피의자로 전환하는 등 ‘배수의 진’을 칠 정도였다. 검찰은 지난 4일 박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 “필요하다면 검찰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는 견해를 밝힌 데 따라 ‘비선 실세’ 최순실(60)씨를 기소하기 전인 15~16일 대면 조사를 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박 대통령 변호인인 유영하 변호사가 15일 “물리적으로 16일까지 어렵다”는 뜻을 내놓자 검찰은 18일로 새로 날짜를 제시했다. 하지만 그나마도 청와대 측이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면서 ‘최 씨 기소 전에 박 대통령을 대면 조사한다’는 검찰의 계획은 무위에 그쳤다. 이후 최 씨와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정호성 전 수석 비서관을 재판에 넘기면서 공소장에 박 대통령을 ‘공범’으로 꼽는 등 피의자 전환이라는 초강수를 뒀으나 청와대 측이 수사 공정성을 이유로 검찰 수사를 거부하면서 사실상 대면 조사는 물 건너갔다는 예측에 힘이 실렸다. 결국 검찰이 마지막으로 제시한 대면 조사 마지노선마저 박 대통령 측이 거부하면서 특검 전 그를 조사해 최 씨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밝힌다는 검찰 계획은 물거품이 됐다.

관련기사



박 대통령 측의 수사 요청 거부로 검찰이 특검에 수사권을 넘기는 처지에 놓이자 법조계 안팎에서는 검찰이 조만간 박 대통령을 옥죄는 최후의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대표적인 게 김기춘 청와대 전 비서실장과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 등 최측근에 대한 수사 카드다. 검찰이 현재 “수사 선상에 올리지 않고 있다”고 하나 이들이 최 씨와 연루된 정황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어 법조계에서는 조만간 수사를 시작할 수 있다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정 전 비서관의 녹취록도 검찰이 앞으로 꺼낼 초강수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검찰 측은 현재 “녹취록에 대한 항간에 돌고 있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고 선을 긋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이는 검찰이 쥔 마지막 카드이자 핵심 증거로, 검찰이 공개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는 이야기마저 돌고 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