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서문시장 화재’, 왜 피해 컸나

4지구 점포 대부분 의류 등 가연성 소재 취급

상가 전체 급속히 확산…진화 어려움

30일 새벽 발생한 대구 서문시장 화재가 큰 피해로 이어진 것은 불이 난 4지구 점포 대부분이 의류나 침구 등 가연성 소재 제품을 취급하기 때문이다.


30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서문시장 4지구는 연면적 1만5,386㎡에 지하 1층(주차장), 지상 4층(점포) 규모로 이뤄져 있다. 서문시장이 연차적으로 들어서던 무렵인 지난 1976년 11월 철근 콘크리트로 건립됐다. 4지구 전체 점포수는 모두 839개에 이르며 상가 대부분이 화재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관련기사



4지구 상가의 70% 이상이 의류를 취급하고 있고, 나머지 30% 정도가 이불 등 침구, 액세서리를 취급하고 있다. 이 때문에 1층 부근에서 난 불이 전체 상가로 급속하게 퍼진 것으로 소방당국은 보고 있다.

불이 나자 소방차 97대와 인력 750명은 물론 헬기까지 동원해 공중에서 물을 뿌렸지만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소방 관계자는 “의류 상가가 많아 완전 진화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대구=손성락기자 ssr@sedaily.com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