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안전사각’ 주거용 비닐하우스 2,930동

2001년 마련 해소대책 불구 증가…‘말뿐인 대책’

화재에 취약해 ‘안전 사각지대’로 불리는 경기도 내 주거용 비닐하우스가 2,930동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인명 및 재산피해를 막겠다며 2001년 주거용 비닐하우스 해소 대책을 마련했으나 15년여가 지난 지금까지 줄기는커녕 오히려 큰 폭으로 늘어났다.


30일 경기도 재난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도내 비닐하우스는 2,174단지 2,930동에 이른다.

고양시가 661동으로 가장 많고 과천시가 331동, 성남시가 157동, 하남시 149동 등이다.

주거용 비닐하우스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매년 끊이질 않는다.


올 1월 고양시 일산동구 한 주거용 비닐하우스에서 불이 나 일가족 4명이 긴급 대피했다.

관련기사



지난해 3월에는 고양시 덕양구 한 비닐하우스에서 불이 나 1명이 숨졌다. 이 비닐하우스는 작물 출하 등 작업량이 많을 때 임시 숙소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1월에도 고양시 일산서구 비닐하우스에서 난 화재로 안에서 자던 일가족 5명 중 4명이 숨졌다.

도는 주거용 비닐하우스 화재로 인한 피해가 잇따르자 2001년 8월 당시 2,200여동이던 주거용 비닐하우스의 자진 철거 및 주민 이전을 적극적으로 유도한다는 내용의 대책을 마련해 발표했다.

그러나 도내 주거용 비닐하우스는 전혀 줄어들지 않았다.

2008년 말 1,567동으로 다소 줄었다가 지난해 말 오히려 2,930동까지 많이 증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도의 대책이 ‘말뿐이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도 재난안전본부 관계자는 “주거용 비닐하우스 거주자들을 강제로 이전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며 “다만 도는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막기 위해 소방서별로 정기적인 화재예방 교육과 소화기 보급, 정기적인 순찰 및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원=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