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이재성 UNIST 교수팀, 단가 낮추고 효율 높인 2세대 인공나뭇잎 개발

물속에서 햇빛을 받아 수소를 만드는 '인공나뭇잎'의 새 형태가 나왔다. 인공나뭇잎은 식물 광합성의 원리를 본떠 수소를 생산하는 장치로 기존에 발표된 1세대보다 효율이 월등히 높은데다 제작 단가도 낮아 실용화로 가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재성 교수팀은 햇빛을 이용해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인공나뭇잎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값싸고 안정하며 친환경적인 '비스무스 바나데이트 산화물(BiVO₄)'을 광촉매로 활용했다. 여기에 두 종류의 원소를 도핑(doping)하고 코발트를 조촉매로 도입해 성능을 높였다. 햇빛을 흡수하는 역할은 주로 광촉매가 담당하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보조전지로 붙는다. 두 요소 모두 저렴해 전체적인 가격도 낮췄다. 또 태양광 전환효율은 5%로 기존 인공나뭇잎(3%)보다 향상됐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co.kr


관련기사



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