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자율차 개발 쉬쉬하더니…애플, 대규모 투자 첫 시인

美 당국에 "머신러닝·車 분야 엄청나게 투자" 서한 제출

그동안 자율주행차(무인차) 개발 여부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해온 애플이 “자율주행차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며 처음으로 자동차 사업 진출 가능성을 공식 시인했다.

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달 22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자율주행차와 관련한 의견을 담은 서한을 제출했다. NHTSA가 자율주행차 관련 기업들에 의견을 묻는 서한을 보내고 애플이 이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애플의 투자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스티브 케너 애플 제품통합 이사는 서한에서 “그동안 머신러닝과 자동차 분야 연구에 엄청나게(heavily) 투자해왔다”며 “교통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자동화 시스템의 잠재력에 고무돼 있다”고 답했다. 케너 이사는 미 자동차 기업인 포드에서 자율주행차 분야 임원으로 재직했던 인물이다. 톰 뉴메이어 애플 대변인도 “우리는 머신러닝과 자동화 시스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어 당국에 의견을 제출했다”고 확인했다.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이 개인용컴퓨터(PC)와 뮤직플레이어(MP3), 스마트폰에 이어 자동차 시장 진출을 사실상 공식화한 셈이다.

관련기사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서한을 통해 당국에 자율주행차와 관련한 새 안전기준 제정을 요구하고 지나치게 엄격한 규제를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완성차 업체들과 달리 NHTSA가 요구한 ‘교통 정보공유’에 대해서는 찬성 입장을 표했다.

애플의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사실은 시장에서는 공공연한 비밀로 통했다. 애플이 ‘타이탄’이라는 자율주행차 프로젝트를 가동하고 있다는 소문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1,000여명에 달하는 타이탄 프로젝트 소속 인력 가운데 수백 명이 회사를 떠났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손을 떼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서한이 공개되면서 애플이 자율주행차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다만 애플이 직접 자동차 생산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일각에서는 애플이 하드웨어가 아닌 자율주행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치중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