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글로벌 '빅2' 국내 상륙…전기차시장 주도권 경쟁 달아오른다

테슬라, 하남 스타필드에 첫 매장 열고 '모델 S' 내달 시판

세계 1위 BYD도 국내 법인 설립 마치고 딜러사 확보 나서

"시장 수성하라" 현대차 자율주행 기능 강화 '아이오닉' 출시

한국GM·르노삼성차도 '볼트 EV' '트위지' 내년 선뵐 계획

아이오닉 일렉트릭아이오닉 일렉트릭




국내 전기자동차(EV) 시장이 공회전을 하고 있는 가운데 주도권을 잡기 위한 업체 간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일렉트릭’을 앞세워 단숨에 1위로 올라선 가운데 한국GM과 르노삼성차가 반격을 준비 중이다. 여기에 테슬라와 BYD 등도 국내 진출 채비를 마치고 경쟁에 가세할 예정이어서 전기차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여전히 부족한 충전 인프라와 미비한 법·제도로 인해 전기차 시장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쉐보레 볼트 EV쉐보레 볼트 EV


4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와 BYD가 국내 법인 설립을 마치고 본격 영업을 준비하고 있다.

테슬라는 조만간 경기도 하남 스타필드에 첫 매장을 열고 판매에 나선다. 테슬라는 스타필드에 이어 청담동에 플래그십 매장도 오픈할 예정이다. 테슬라는 고급 세단 ‘모델 S’를 앞세워 국내 시장에 진출하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X’도 국내에 선보일 예정이다. 또 신세계와 손잡고 내년 상반기까지 총 25곳의 테슬라 ‘데스티네이션 차저’를 신세계백화점·이마트·조선호텔·스타벅스 등 신세계 그룹내 유통채널에 구축하는 등 자체 충전 인프라 확충에 나설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BMW i3BMW i3


중국 1위 전기차 업체인 BYD도 최근 국내 법인 설립을 마치고 딜러사 확보에 나섰다. BYD는 일단 15인승 버스인 ‘K6’를 먼저 선보인뒤 국내 전기차 보조금 제도 개편에 발맞춰 ‘e6’와 같은 승용차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BYD는 지난해 총 6만1,722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해 테슬라(5만574대)를 제치고 글로벌 1위에 오른 전기차 업체다.

테슬라 모델 S테슬라 모델 S


글로벌 1, 2위 전기차 업체가 속속 국내에 상륙하면서 국내 완성차 업체들도 수성에 나섰다.


현대차는 최근 열린 LA오토쇼에서 자율주행 기능을 강화한 아이오닉 일렉트릭을 선보이면서 시장 주도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아이오닉 일렉트릭은 1회 충전 주행거리가 191㎞로 국내 판매 전기차 중 가장 길고, 복합전비(MPGe) 역시 136으로 BMW ‘i3’(124)와 쉐보레 ‘볼트’(119) 등 경쟁차종에 비해 우수하다.

관련기사



한국GM은 내년 초에 순수 전기차인 ‘볼트 EV’를 국내에 들여올 예정이다. 볼트 EV는 1회 충전 주행거리가 383㎞(북미 기준)에 달해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르노삼성차는 한번의 터치로 세 번 자동 깜빡이는 방향지시등인 원터치 트리플 턴 시그널을 기본 사양으로 탑재하는 등 편의사양을 강화한 2017년형 ‘SM3 Z.E’를 출시하고 판매 확대에 나섰다. 르노삼성차는 내년부터 초소형 전기차인 ‘트위지’ 판매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처럼 업체들의 행보가 빨라지면서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는 전기차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올 1~10월 국내에서 판매된 전기차는 2,886대로 전년 대비 300대 느는데 그쳤다. 올 초 출시된 아이오닉 일렉트릭(1,480대)을 제외하면 45%가량 판매가 줄었다. 당초 정부가 올해 목표로 잡은 국내 전기차 보급대수는 1만대다.

전기차 보급이 더딘 것은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데다 법·제도도 미흡하기 때문이다. 실제 주행거리보다 단순 충전시간을 기준으로 보조금 지급 대상을 정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국내 전기차 보조금 지급 규정에 따르면 지원 대상 차량은 완속충전기(1시간에 7kW 충전)로 10시간 이내 완전충전돼야 한다. 배터리 용량이 클 경우 이 규정을 충족하기 힘들다. 또 지난 4월부터 시행된 공공급속충전시설 충전요금 유료화도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1회 충전 주행거리를 늘리려는 업체의 노력과 함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나서 충전 인프라를 확충하고 보조금 지급과 관련한 규정 개선에도 적극 나서야 전기차 시장이 본격 개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행경기자 saint@sedaily.com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