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포화상태에다 김영란법까지··경영난에 ‘피눈물’ 흘리는 식당가

‘2016년도 식품산업 주요 지표’

국내 식당 65만개로··78명당 1개꼴

“내년에도 외식업 경영난 계속될 것”



퇴직 이후 너도나도 음식점 개업에 나서면서 식당들의 경영난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다 김영란법 시행과 최순실게이트까지 겹치면서 연말 식당가에 급속도로 얼어붙고 있다.

5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16년도 식품산업 주요 지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음식점 및 주점업 사업체 수는 전년 대비 2.4% 늘어난 65만 개였다.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 5,133만 명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식당이 국민 78명당 1개꼴로 있는 셈이다.

또 전체 음식점의 87.4%는 직원 수가 5명 미만인 소규모 음식점이었다.

퇴직자를 중심으로 영세 자영업자들이 너도나도 외식업에 뛰어들면서 외식업계가 포화 상태에 이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여기에는 질적인 성장 대신 가맹점 수 늘리기에만 급급했던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들도 한몫했다는 분석도 있다.

프랜차이즈의 경우 퇴직자처럼 처음 외식업종에 진출하는 사람들이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장받기 위해 찾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영점이 없는 프랜차이즈가 60%(한국외식산업정책학회 집계 기준)에 달한다.


다시 말하면 가맹본사에서 직접 운영해 성공한 경험도 없는 식당 브랜드를 만들어 판매하는 기형적인 구조라는 의미다.

관련기사



가맹본사들이 로열티보다는 초기 개설 비용을 가맹점으로부터 받아 수익을 극대화하고 있어 초기 비용을 보전하지도 못한 채 폐업하는 가맹점도 속출하고 있다.

아울러 한정된 내수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외식업종의 폐업률은 23%(2014년 기준)로 전체 자영업 폐업 가운데 가장 비중이 높았다.

문제는 경기가 어려워지고 퇴직 및 실직자가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진입 문턱이 낮은 외식업에 뛰어드는 사람들은 갈수록 많아지는 반면 외식 수요는 줄면서 문을 닫는 식당이 급증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올해 같은 경우 청탁금지법 시행과 최근의 ‘최순실 게이트’까지 터지면서 식당 경기가 그야말로 꽁꽁 얼어붙었다.

실제로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지난 10월 발표한 ‘2016년 3·4분기 외식산업 경기전망지수’에서도 외식 소비가 감소하면서 3·4분기 전망은 지난해 수준에 한참 못 미치는 71.04p로 전망됐다.

한국외식산업정책학회장인 장수청 미국 퍼듀대학교 교수는 “일각에서는 세월호, 메르스 사태 이후 외식업계 경기가 ‘회복됐다’고 분석하지만 당시의 충격이 다소 완화된 것일 뿐, 실제로는 몇 년째 매출 하락세가 지속하고 있다”며 “청탁금지법 등의 영향으로 내년엔 매출 감소세가 더 가파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산업 전체에서 외식업의 고용인원이 200만 명가량으로 가장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폐업은 물론 대량 실직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