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총수들 "靑 요청 거절하기 힘들었다"

'최순실 국조' 청문회

"강제 할당 따른것...반대급부 없어" 대가성 부인

이재용·정몽구 "전경련 탈퇴 의사" 해체 공론화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 출석한 기업 총수들이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 앞줄 오른쪽부터 허창수 GS그룹 회장(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이호재기자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 출석한 기업 총수들이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 앞줄 오른쪽부터 허창수 GS그룹 회장(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이호재기자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한 그룹 총수들은 “청와대의 강제할당에 따른 것이다. 정부가 요청하면 어쩔 수 없다”고 강조한 뒤 “반대급부는 없었다”며 대가성을 부인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롯한 총수 일부는 또 모금책 역할을 한 전국경제인연합회 해체에 찬성하거나 역할 축소를 의미하는 발언을 해 전경련 해체 문제도 공론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룹 총수들은 6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게이트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나와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에 대해 “대가성은 전혀 없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들은 청와대의 출연 요청을 거절하기 어려웠다고 말해 강제성을 일부 시인하면서도 사업 특혜나 총수 사면 등을 위해 청와대와 모종의 거래를 했다는 의혹은 부인했다.


이날 청문회에는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해 최태원 SK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등 모두 9명의 총수가 출석했다.

관련기사



이 부회장은 재단 출연이 삼성그룹의 안정적 승계와 이 부회장의 경영권 확보에 대한 대가성이 있다는 지적에 “(삼성은) 단 한 번도 뭘 바란다든지, 반대급부를 바라면서 출연하거나 지원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사회공헌이든 출연이든 어떤 부분도 대가를 바라고 하는 지원은 없다”고 강조했다. 신동빈 회장도 K스포츠재단에 대한 70억원 추가 지원 결정이 서울 면세점 추가 입찰과 ‘형제의 난’ 수사 관련 로비가 아니냐는 의혹에 “관계없다”고 일축했다. 최태원 회장은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이 자발적이었느냐는 이완영 새누리당 의원의 질문에 “기업별로 할당을 받은 만큼 낸 것”이라며 “대가성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출연한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구본무 LG그룹 회장도 출연 요구에 대해 “한류나 스포츠를 통해 국가 이미지를 높이면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말씀하셔서 정부가 뭔가 추진하는 데 민간 차원에서 협조를 바라는 게 아닌가 생각했다”며 대가성을 부인했다.

한편 이재용 부회장은 “전경련에서 탈퇴할 것”이라며 “전경련에 기부금을 내지 않고 개인적인 활동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정몽구 회장도 “전경련 탈퇴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구본무 회장은 “전경련은 헤리티지재단처럼 운영하고 각 기업 간 친목단체로 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경련을 지탱하는 그룹 총수들이 기부금 금지, 회원 탈퇴, 운영방식 변경 등을 국회 청문회에서 밝힘에 따라 전경련 해체 문제가 수면 위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