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탄핵표결 D-2]靑도 대통령 직무정지·헌재 탄핵심판 대비체제 돌입

특검 대비 변호인단 이외에

대규모 변호인단 따로 구성

총리실과 업무분장 물밑조율

업무보고 준비 등도 서둘러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는 7일 대통령 직무정지와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대비 체제에 돌입했다. 9일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을 사실상 기정사실로 보고 이후 과정에 대한 준비를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새누리당이 자유투표로 탄핵 표결에 임하겠다고 밝힌 데 따라 이제는 지켜보는 수밖에 없지 않겠냐”면서 “박 대통령이 어제(6일) 가결 이후에도 담담히 헌재 심판에 임하겠다고 한 만큼 관련 준비를 시작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우선 박 대통령은 헌재의 탄핵 심판에 대비한 변호인단을 별도로 꾸릴 예정이다. 특별검사 수사에 대비한 변호인단은 유영하 변호사를 비롯한 4명인데 이와는 별도로 헌재 심판에 대응하는 대규모 변호인단을 따로 구성한다. 박 대통령은 전직 헌법재판관이나 헌재 재판연구관 등 헌법재판 관련 업무를 다뤄본 법조인을 물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황교안 국무총리의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 대비해서도 업무를 중간 점검하고 있다. 박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되면 즉시 대통령비서실은 권한대행을 보좌하게 된다. 이 때문에 청와대의 각 수석실도 황 총리에게 각자의 업무를 보고해야 하기에 보고 준비를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청와대의 한 참모는 “권한대행 체제에서 종합적으로 황 총리를 어떻게 보좌해야 할지는 내부 논의를 하고 있다”면서 “직무정지 중이라고 해도 대통령과 권한대행은 지위가 다르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어디까지 보좌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총리실과도 향후의 업무 분장 계획을 물밑에서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 산하 국무조정실이 정책 총괄 기능을 하고 청와대의 각 수석실은 기존 업무를 연속성 있게 진행하는 형태로 국정 컨트롤타워 기능이 작동할 것으로 관측된다.

박 대통령은 특검 수사에도 세심하게 대비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으로서의 직무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특검수사를 받기가 더욱 고통스러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변호인들도 조사 과정의 예우 등에 특별히 신경을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순수한 의도로 국가를 위한 사업을 했는데 특정인들이 사익을 취했을 뿐’이라는 생각에 한 치도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변호인들도 형사 책임 수위를 낮추는 방안을 연구하기보다는 결백을 주장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