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갤노트7 회수 '초강수'

뉴질랜드·호주 등 주요국서

통신망 접속·충전 강제차단

서울 마포구 서교동 한 이동통신 매장에서 고객이 갤럭시노트7 스마트폰의 교환 및 환불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서울 마포구 서교동 한 이동통신 매장에서 고객이 갤럭시노트7 스마트폰의 교환 및 환불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가 배터리 발화 위험을 안고 있는 갤럭시노트7을 회수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고강도 자구 노력에 들어갔다.


9일 정보기술(IT) 전문보도매체 더버지 등 외신은 삼성전자가 미국에 유통된 갤노트7의 회수를 위해 이르면 다음주부터 제품을 아예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조치를 취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미국 현지 이동통신사 US셀룰러가 갤노트7 소유자들에게 “12월15일 삼성이 소프트웨어를 수정해 갤노트7 충전을 막을 예정”이라며 “전화기는 더는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지했다는 것이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다른 이통사들에도 전방위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공식 리콜 시한인 오는 연말까지 이들 제품을 수거완료하려면 강제 사용 중단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 내에는 아직 회수되지 못한 갤노트7이 28만5,000대나 남아 있다.

관련기사



뉴질랜드·호주·캐나다에선 갤노트7의 이통사 통신망 접속 차단조치가 이뤄진다. 우선 뉴질랜드에서 이달 초 해당 조치가 됐으며 캐나다와 호주에서는 오는 15일부터 접속이 불가능해진다. 통신망 접속이 차단된 갤노트7은 전화 통화는 물론 데이터 및 메시지 송수신을 할 수 없다.

우리나라에선 언제 갤노트7 사용금지 조치가 이뤄질지 미정이다. 갤노트7의 국내 회수율은 지난 11월30일 기준으로 67%에 불과하지만 소비자에게 사용금지를 강제하는 데 대한 시장의 반응이 해외와 다를 수 있고 강제할 경우의 국내 법리적 책임 문제 등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