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朴대통령 탄핵안 가결] 당국 투자 경고 비웃듯...정치 테마주 거래량 폭증

신속한 경보 체제 방침에도

코스닥 거래액 상위10개 중

정치테마주가 6개 종목 차지

포스트 탄핵 정국 겨냥

반기문·문재인 관련주 급등

이재명·황교안주도 요동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의 국회 표결이 이뤄진 9일 국내 주식 시장에서는 탄핵 이후의 정국 상황에 베팅하려는 투자자들이 대거 몰리며 정치 테마주들이 하루 종일 요동쳤다. 불과 사흘 전 금융 당국이 합동 대응팀 구성과 조기 경보 체제 격상 등을 통해 이상 급등하는 정치 테마주에 대한 집중 단속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시장은 전혀 아랑곳하지 않았다.

9일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는 국회의 대통령 탄핵 표결을 앞두고 차기 유력 대선주자 관련 테마주들이 크게 출렁거렸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조기 대선 체제로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에 투자자들이 일부 대선 후보들과 연관된 테마주들에 미리 베팅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날 코스닥 거래대금 상위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10개 종목 가운데 6개 종목이 정치 테마주들이다.

‘짝퉁 반기문 테마주’로 불렸던 파인디앤씨(049120)는 이날 하루에만 코스닥 전체 1위 규모인 1,800억원이 넘는 거래대금이 몰리며 주가가 전일 대비 23.10% 급등했다. 파인디앤씨에 투자한 반기로 파인아시아자산운용 대표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사촌동생이라는 소문이 퍼지면서 반기문 테마주로 분류됐지만 결국 반 총장과 친척 관계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여전히 개인투자자들이 반기문 테마주로 맹신하면서 탄핵을 앞두고 다시 주가가 요동쳤다. 지엔코(065060)(8.04%)와 성문전자(014910)(5.54%), 씨씨에스(066790)(4.08%) 등 또 다른 반기문 테마주들도 상승 마감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탄핵의 최대 수혜자로 꼽히는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관련된 테마주들도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다. 최근 반기문 테마주에서 문재인 테마주로 갈아탄 대성파인텍(104040)은 이날 무려 3,030만주가 거래되며 전일 대비 가격제한폭(29.82%)까지 치솟았다. 대성파인텍은 사내이사가 반 총장과 인척 관계로 잘못 알려지면서 한때 반기문 테마주로 묶였다. 하지만 지난 9월 비상근 등기임원으로 선임된 이재순 변호사가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근무한 데 이어 문재인 대선 후보 당시 법률 멘토로 활동한 경력이 알려지면서 문재인 테마주에 뒤늦게 올라탔다. 이 변호사는 최근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특검보로 추천됐다가 임명되지는 못했다. 대표이사가 문 전 대표와 경희대 동문이라는 이유로 문재인 테마주에 분류된 서원탑메탈은 이날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우리들휴브레인(118000)(2.18%)과 서희건설(035890)(1.87%), 고려산업(002140)(3.92%) 등도 상승세로 마감했다.

이재명 성남시장이재명 성남시장


최근 무서운 상승세로 차기 대선 주자 지지율 3위까지 치고 올라온 이재명 성남시장과 관련된 테마주들도 상승 탄력을 받고 있다. 형지엘리트(093240)와 아즈텍WB(032080) 등 교복 업체들은 이 시장의 대표적 정책 중 하나인 무상 교복 지원 사업의 수혜주로 거론되면서 주가가 요동쳤다. 이날 한국갤럽이 발표한 차기 정치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 이 시장은 18%의 지지율로 공동 1위인 문재인·반기문(20%)을 바짝 뒤쫓고 있다.

황교안 국무총리황교안 국무총리


탄핵안 가결로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는 황교안 국무총리와 연관된 테마주도 들썩거렸다. 음향기자재 업체 인터엠(017250)은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가 하락 마감했고 솔고바이오(043100)도 장중 5% 넘게 급등했다. 이들 기업은 대표이사가 모두 황 총리와 같은 성균관대 동문이라는 이유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황교안 테마주로 불리고 있다.


탄핵 이후 조기 대선 체제로 돌입하면 정치 테마주들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금융 당국이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서울남부지검 등 금융 당국과 관계 기관은 6일 ‘시장 안정화 협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정치 테마주 대응에 나서기로 발표했지만 아직 구체적 가동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

관련기사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