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입찰, 거주자우선주차장, 대피시설 정보 표준화된다

행자부 5개 분야 27종 데이터 명칭,위치, 개방형식 표준화

내년 3월까지 정비...공공데이터포털에 전국 통합 제공

내년 상반기 중에 입찰정보와 개별 공시지가 등 조달시스템 정보를 비롯해 민방위 대피시설과 거주자우선주차장 등 정보가 표준화돼 국민들이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행정자치부는 산불위험지역, 거주자우선주차정보, 야영(캠핑)장 정보, 초·중등학교위치정보, 입찰정보 등 5개 분야 27종 데이터의 명칭, 위치, 개방형식 등을 규정한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을 12일 추가 제정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로써 지난 2014년부터 제정된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은 총 79개로 늘어난다. 표준이 마련된 27종 데이터는 전국 지자체 및 공공기관과 협의를 거쳐 내년 3월까지 정비하고,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전국단위로 통합, 다양한 형식으로 국민들에게 제공된다.

이번에 추가로 제정된 주요 개방표준을 살펴보면 경제분야의 경우 입찰정보, 낙찰정보 계약정보, 개별공시지가 정보, 개별주택가격 정보가 그동안 조달청 나라장터(www.g2b.go.kr)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기타 자체 조달시스템 이용 기관의 표준이 서로 달라 민간 활용에 애로가 많았으나 표준화돼 민간기업에서 사업상 활용하기에 훨씬 편리해 질 전망이다.


재난안전 분야의 경우 산불위험정보는 해당 산악지역의 산불위험등급 및 산불조심기간 등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데이터로 등산·관광 앱과 연계해 서비스된다. 또 민방위 대피시설 데이터도 전국 단위 표준화로 차량 내비게이션 등과 결합돼 서비스된다.

관련기사



또 거주자우선주차장도 표준화된 정보를 전국단위로 제공해 차량이 주차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타 차량이 이용하기 쉽게 된다. 관광·레저분야의 경우 가로수길, 관광지, 낚시터 야영장 등의 지자체별 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제공한다.

윤종인 행자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수 있는 원천데이터를 적극 발굴하고 데이터간의 연계 및 융·복합이 가능하도록 표준화 대상을 확대하는 등 내년까지 총 100개 이상의 개방 표준을 추가 제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