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미일 “北석탄 수출통제 철저히 공조"

6자회담 수석대표 서울회동

"2017년이 북핵문제 분수령

제재에 中 완전한 공조 희망"

13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회담을 갖기 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셉 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송은석기자13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회담을 갖기 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셉 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송은석기자




한미일은 1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2321호와 3국의 대북 독자제재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빈틈없는 공조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특히 안보리 결의 2321호의 핵심인 북한산 석탄 수출 상한제의 철저한 이행·검증을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조지프 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등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는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회동 직후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본부장은 “오는 2017년이 북핵 문제의 주요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으로 내년 한반도 상황과 미국 행정부 교체 등 대내외 정세전망, 대북 압박 성과와 추가 제재를 비롯한 공조 방안에 대해 포괄적 협의를 했다”면서 “안보리 결의 2270호와 2321호의 이행 방안, (한미일 등 국제사회의) 대북 독자제재 조치를 어떻게 강화할지에 대해 의미 있는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또 “안보리 결의 2321호의 북한산 석탄 연간 수출 상한제를 포함해서 북한의 자금원 차단을 위한 다양한 조치가 철저히 이행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한미일이 뉴욕과 각국 수도 차원에서 상시적으로 정보교환 시스템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그는 “중국이 2321호 이행 차원에서 (올해 말까지) 북한산 석탄의 수입을 잠정 중단하기로 한 것을 평가했다”면서 “중국과 러시아가 대북 압박에서 건설적 역할을 다하도록 전략적 소통을 계속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미국 측 수석대표인 조지프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안보리 신규 대북제재에 명시된 북한산 석탄 수출 제한과 관련한 중국의 역할에 대해 “중국 당국이 (제재의) 이행을 위해 완전한 공조를 하길 희망하고 공조가 이뤄지면 북한의 자금원 차단이 이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 대표는 내년 1월20일 출범할 미국 새 행정부의 대북 기조에 대해 “북한 관련 이슈는 항상 당파를 초월한다”고 소개한 뒤 “대북 정책에 대한 새로운 검토를 해도 일관된 입장이 나올 것으로 생각한다. 우려하지 않는다”며 제재·압박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가나스기 국장은 “한미일 공조의 중요성은 변함이 없다”면서 “2321호를 포함한 일련의 안보리 대북 결의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한미일의 독자 대북제재 조치의 상승(시너지)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