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특검팀 '디지털 포렌식' 가동...태블릿·녹음파일 분석 착수

특별수사관 등 인선 마무리

이르면 주말 동시다발 수사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사태와 박근혜 대통령 비위 의혹을 파헤칠 박영수 특검이 본격적인 수사를 앞두고 휴대폰·노트북 등 물증 분석을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13일 사정당국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서울 대치동 D빌딩에 PC와 노트북, 휴대폰 등 전자기기 정보 분석에 쓰이는 디지털 포렌식 장비를 설치했다. 디지털 포렌식은 전자기기 등의 디지털 정보를 수집·추출하거나 복구한 뒤 분석해 범죄 단서와 증거를 찾아내는 첨단 과학수사 기법을 뜻한다. 특검팀은 최순실(60) 소유로 알려진 태블릿PC는 물론 이른바 ‘정호성 녹음파일’ 등 핵심 증거를 분석하는 데 사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특검팀은 특검보와 1·2차 파견검사를 비롯해 검찰 수사관, 경찰관, 특별수사관 등 수사 인력 구성도 이날 마무리했다. 애초 40명 규모로 꾸릴 예정이었던 특별수사관은 20명 안팎으로 인선을 끝낸 상태로 수사 진행에 따라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지닌 변호사를 충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에서 넘겨받아 제3의 공간에서 분석하던 1톤 규모의 자료도 특검 사무실로 전부 옮겼다.


법조계에서는 수사인력 구성, 디지털 포렌식 장비 설치 등 준비 작업을 사실상 끝낸 만큼 특검팀이 이르면 이번주 말부터 동시 다발적 수사에 착수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시간적 제약이 큰 만큼 더 이상 수사를 지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특검법상 규정돼 있는 1차 수사 기한은 내년 2월28일까지다. 하지만 수사 연장 여부를 승인하는 박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돼 있어 같은 해 3월30일까지 한 차례 수사 기간이 연장될지는 미지수다. 현재 특검팀에서 수사에 착수하기 앞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알려진 부분은 박 대통령의 미르·K스포츠재단 강제 모금 등 제3자 뇌물수수 의혹. 아울러 삼성 등 재계의 최순실씨 일가 특혜성 지원을 비롯해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직무유기 등 국정농단 개입, 박 대통령 주사제 대리 처방 등 ‘세월호 7시간’, 정유라(20)씨 이화여대 특혜 입학 등 각종 의혹도 수사의 큰 축 가운데 하나로 꼽히고 있다.

관련기사



특검팀 관계자는 “아직 정확한 수사 계획이 정해진 건 없다”면서도 “현행법상 준비기간 중에도 압수수색이나 소환조사 등 수사는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른 시일 내 수사에 착수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이와 관련해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수사는 공보를 담당하는 특검보 1인을 제외하고 3명의 특검보가 수사 영역별로 팀을 나눠 진행될 수 있다”며 “대규모 인력이 동원되는 압수 수색의 경우 특검팀이 검찰에서 추가로 지원받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