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구글 자율주행차 상용화하나

개발팀 확대 개편해 자회사 '웨이모' 설립

R&D 마무리하고 수익창출 단계 들어갈 듯

시각장애인 단독 시험운행 성공도

구글의 자율주행차 사업부문 웨이모는 13일(현지시간) 동반자 없는 시각장애인의 단독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시험 운행에 성공한 법적 시각장애인 스티브 메이헌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자율 주행차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 /샌프란시스코=AP연합뉴스구글의 자율주행차 사업부문 웨이모는 13일(현지시간) 동반자 없는 시각장애인의 단독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시험 운행에 성공한 법적 시각장애인 스티브 메이헌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자율 주행차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 /샌프란시스코=AP연합뉴스




구글이 자율주행차 개발 부문을 독립된 자회사로 확대 개편했다. 연구개발(R&D)에 집중해온 자율주행차 부문의 상용화가 임박했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은 이날 “자율주행차 사업을 전담하는 유한책임회사(LLC)를 설립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알파벳의 12번째 자회사가 될 이 회사의 이름 웨이모(Waymo)이며 자율주행차 연구를 이끌어온 존 크래프칙이 최고경영자(CEO)를 맡는다. 지금까지 구글의 자율주행차 연구는 알파벳 내 혁신기술연구소인 ‘X’에서 맡아왔다.


웨이모는 또 이날 텍사스주 오스틴 시험장에서 시각장애인의 단독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에 성공했다는 사실도 공개했다. 자율주행차 전담회사 설립과 함께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까지 완성했다는 사실을 선포한 셈이다.

관련기사



미 언론은 “자율주행차 부문이 상업적 요구조건을 충족할 필요가 없는 X에서 졸업했다”며 “자율주행차가 수익을 창출하는 상용화에 근접했다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다. 다만 크래프칙 CEO가 구체적인 사업 모델을 밝히지 않아 웨이모가 어떤 방식으로 수익을 낼지는 미지수다.

카네기멜런대의 코스타 사마라스 교수는 “구글의 웨이모 설립과 시각장애인 시험운행 성공은 자율주행차 시장의 주도권 선점 경쟁이 본격화됐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지난 2009년 자율주행차 연구에 착수한 구글은 애플·우버·테슬라 등 정보기술(IT) 강자부터 BMW·도요타·포드 등 전통 자동차 제조사까지 대거 가세한 글로벌 자율주행차 개발 경쟁구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추정된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