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 금리 0.25%P 인상] "연준, 트럼프노믹스 연료통 숨긴꼴"...인프라 확대 제동 걸리나

美 경제정책 영향은

옐런 "신임 행정부 계획 예의주시"

경기과열·인플레 차단의도 드러내

强달러에 일자리확대도 차질 올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 경제라는 로켓에 점화를 시도하는 와중에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연료통을 숨겨버렸다.”

14일(현지시간) 연준의 매파적 금리 인상에 대해 미국 언론들이 내린 평가다. 전문가들은 옐런 의장이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견제 의도를 분명히 드러낸 것으로 보고 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은 세금을 줄이고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트럼프의 계획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는 옐런 의장의 발언이 근거다.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확대정책이 경기 과열이라는 부작용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유동성을 옥죄겠다는 입장을 천명했다는 것이다. 트럼프가 나라 곳간을 풀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면 연준이 유동성을 흡수해 인플레이션 가속화를 막겠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연준 의원들이 평균적으로 내년 3회가량의 금리 인상을 예상한 것도 트럼프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옐런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 위원은 향후 금리 예측에 차기 행정부의 재정정책 변화를 감안했고 이는 (연준의) 정책 변화를 일으킨 몇몇 요인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다음달 취임과 동시에 막대한 재정적자를 유발할 수 있는 감세와 인프라 투자 확대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금리 정상화의 시동을 건 옐런의 출구전략이 트럼프 경제팀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자리 확대를 정책 1순위로 내세우는 트럼프에게 제1의 적수는 옐런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폴리티코는 “연준은 4%대 중반으로 내려온 실업률과 실질임금 상승을 경기 과열의 신호로 간주하는 반면 트럼프는 미 경제가 여전히 활기 없는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연준의 금리 인상은 환율 경로를 통해서도 트럼프 경제정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리 인상으로 달러화가 강세를 유지하면 미국 내 수출기업들이 타격을 입으면서 공장의 해외이전이 가속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스티븐 리치토 미즈호금융그룹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금리 인상이 미국의 경제 호조를 반영하는 것이라면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트럼프 측의 가정대로 미 경제가 활력이 없는 상태라면 상당한 악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폴리티코는 “인구구조 변화와 생산성 저하가 일자리 정체의 근본 원인이라는 게 상당수 전문가들의 진단”이라며 “재정지출 확대는 좋은 처방이 아니라는 의견이 많다”고 지적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