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고자기장기술 개발 최신 동향 한눈에

기초지원硏, ‘제2회 고자기장기술 국제포럼’ 개최

제2회 고자기장기술 국제포럼에 참석한 연사들과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제2회 고자기장기술 국제포럼에 참석한 연사들과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15일 대덕본원에서 고자기장기술 개발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고자기장기술 발전방향을 논하는 ‘제2회 고자기장기술 국제포럼’을 개최한다.

핵자기공명장치(NMR)·자기공명영상장치(MRI) 및 물성연구용 초전도 고자기장 발생기술 분야의 기술동향 및 개발현황을 알아본다. 이번 포럼에는 초전도 자석 및 선재에 대한 관심을 위해 미국, 일본, 독일의 연구자들을 포함 국내외 전문가 2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고자기장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 국립고자기장연구소의 응용초전도센터장 데이빗 라발레스티어 교수가 ‘초고자기장 초전도자석 최첨단 기술과 도전’이라는 주제로 총회강연에 나서고,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는 세계 최고자기장기록 보유 NMR 자석 개발 내용, 브루커 바이오스핀 사에서는 상용 초고자기장 NMR 자석의 소형화 기술 및 자기장세기 증강기술 개발에 대해 발표한다.

관련기사



국내 고온초전도선재 양산기업 서남에서는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기술을 소개하고, KAT에서도 고자기장 MRI 자석 및 요구되는 고성능 초전도선재 개발에 대해 소개한다.

국내 고자기장 연구장비 개발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 기초지원연에서는 국내 양산 2세대 고온초전도선재를 적용한 전도냉각 고자기장 NMR 자석개발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이광식 기초지원연 원장은 “앞으로 포럼을 통해 국내외 상용 및 공공 고자기장기술 간 국제적인 교류의 장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기초지원연은 고자기장 분석과학 플랫폼 기관으로서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고자기장 연구장비를 구축해 나감으로써 관련 연구장비 산업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aily.com

구본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