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기업들 “내년 경제성장 2.5% 미만”… 정부보다 어둡게 전망

“보호무역·탄핵 리스크 무시 못 해…정책 리더십 부재 가장 문제”

“2018년 이후 세계 경제 회복 전망… 중국은 가장 위협적인 국가”

기업 10곳 중 9곳은 정부나 경제연구소보다 내년 경제 상황을 더 어둡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내 30대 그룹의 주요 계열사 32곳은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2.0% 이상~2.5% 미만’으로 전망했다. 이는 기획재정부(3.0%), 국제통화기금(IMF·3.0%), 한국은행(2.8%),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6%), 현대경제연구원(2.6%), 한국금융연구원(2.5%) 등의 전망보다 낮은 수치다. 다만, 이들 기관도 최근 경기흐름을 반영해 조만간 성장률을 하향 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경제기관의 분석과 달리 현장에서 뛰는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는 더 차갑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내년 상반기까지 정치적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대외경제 여건도 어려워지고 있다.


박문수 산업연구원 산업정책연구실장은 “내부적인 리스크로는 정치적 혼란이 있고 외부적으로는 트럼프 정부 출범과 더불어 보호무역주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하루빨리 경제사령탑이 제자리를 잡고 정치적 혼란에 따른 불안정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은 주력 업종과 무관하게 내년 경영환경을 대체로 어둡게 봤다. 대부분 기업이 내년 구조조정이나 투자 동결 등 방어적 경영을 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유통과 석유화학만 투자·채용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유통기업 4곳 중 2곳과 석유화학 업체 5곳 중 2곳은 내년 투자를 올해보다 확대하겠다고 답했으며, 유통기업 4곳 중 3곳과 석유화학 업체 5곳 중 2곳은 내년에 더 많은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기업들은 세계 경제의 회복이 2018년 이후(19곳·59.4%)에나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으며 가장 위협적인 경쟁국으로는 중국이 23곳(71.9%)으로 가장 많았다. 정부에 바라는 경제 정책은 ‘과감한 규제 개혁’이 13곳(37.1%)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중소기업 적합업종 등 동반성장 관련 규제가 많은 유통업에서 이런 목소리가 많이 나온 것으로 분석됐다.



박미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