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AI 위기경보, 주의→심화 "가금류 폐기, 유통고기는 먹어도 된다"

정부가 AI 위기경보 단계를 기존의 '주의'에서 '심각'으로 강화시켰다. 또 AI방역대책본부를 여러 부처가 참여하는 중앙사고수습본부로 전환하는 등 방역 체계를 한층 강화한 것.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0일 오전 10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대국민담화를 발표해 "AI를 조기에 종식시키기 위해 위기경보 단계를 '심각'으로 격상한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달 16일 충북 음성과 전남 해남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후 1개월 만에 살처분 마릿수가 1600만 마리에 이르는 등 피해 규모가 역대 최대 규모를 넘어섰기 때문. 김 장관은 "이번 AI 바이러스는 H5N6형으로 2014년에 발생한 H5N8형 바이러스보다 병원성이 더 강하며 전파속도가 빠른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대국민담화에는 방역 관련 정부 대응을 강화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정부는 농식품부 중심의 AI 방역대책본부를 여러 부처가 함께 참여하는 중앙사고수습본부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또 전국 모든 시·군에 AI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할 방침. 통제 초소도 전국 주요도로로 확대 설치될 예정이다. 정부는 닭·오리를 사육하는 농민들에게 전용신발과 방역복 착용 등 방역원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김 장관은 AI의 인체감염 우려와 관련해서는 "AI 발생농장의 가금류는 모두 살처분되거나 폐기 처분되고 있기 때문에 시중에 유통되는 닭고기, 오리고기, 계란 등은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만의 하나 (고기가) AI 바이러스에 오염되었더라도 익혀드시면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