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소상공인 절반 "배달앱 불공정거래 경험"

중기중앙회 애로실태 조사

광고비 과다 요구 25%로 1위

배달의 민족 등 대표적 배달 앱들이 외식업 시장의 주요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소상공인의 절반 정도가 배달 앱 사업자로부터 초기 화면 광고 노출 등에서의 불공정거래를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200개 배달 앱을 이용하는 치킨과 중식, 패스트푸트 전문점 등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애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8%가 배달 앱 사업자로부터 한 가지 이상의 불공정 거래행위를 겪었다고 답했다. 백화점(29.8%)이나 대형마트(15.1%)의 불공정거래 비율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수치다.

관련기사



소상공인들이 꼽은 배달 앱 사업자의 불공정행위(복수응답 허용)로는 ‘광고비 과다 요구(25.7%)’가 1위로 꼽혔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슈퍼리스트(앱명: 배달의 민족)와 우리동네플러스(앱명: 요기요) 등 주요 배달앱 사업자는 온라인 최상단 광고 노출 조건으로 광고가격을 정액제가 아닌 입찰방식으로 결정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개별 소상공인의 광고 부담비는 입찰 과정에서 수백만 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일방적인 정산절차(26.0%)와 △판매자에게 일방적 책임 전가(25.0%) △서면계약서 부재(23.5%) 등도 배달앱 사업자의 주요 불공정거래 행위로 지적됐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