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8학년도 수능, 절대평가 첫 도입에 영어 반영 비율은 감소

내년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영어 영역 반영 비율이 큰 폭으로 감소한다. /연합뉴스내년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영어 영역 반영 비율이 큰 폭으로 감소한다. /연합뉴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처음 절대평가로 전환되는 영어 영역이 내년 입시에서 서울 시내 주요대학들과 거점 국립대가 영어 영역 반영 비율을 줄이는 대신 다른 영역의 반영 비율을 늘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교육시민단체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교육걱정)은 서울 주요 15개 대학과 거점국립대 7곳의 2018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을 분석한 결과, 모든 대학의 정시모집에서 영어 영역의 반영 비율이 2017학년도 대입전형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19일 발표했다.


영어 반영 비율을 직접 계산 가능한 16개 대학의 경우 2017학년도 대비 2018학년도의 영어 반영 비율이 9.1%p(평균 34.6%p → 25.5%p) 감소한 반면, 탐구 영역 비율은 3.4%p, 국어 2.7%p, 수학 1.5%p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서울 주요대학의 영어 영역 반영 비율은 평균 12.2%p 감소해 5.9%p 감소한 거점국립대보다 반영 비율 감소가 컸다.

사교육걱정은 서울대, 고려대, 중앙대, 전북대, 충남대는 영어를 반영 영역에서 아예 제외하고 가감점제를 선택했으며 등급간 점수차(0.5~4점)까지 미미해 영어 영역의 영향력이 무력화됐다고 밝혔다.

사교육걱정은 “영어 반영 비율이 감소하고 다른 영역 전체의 반영 비율이 증가하면서 다른 과목으로 학업 부담이 전이되는 풍선효과가 발생하고 있다”며 “영어 절대평가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2018학년도 정시모집 수능 영어 반영 비율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해야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전과목 절대평가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세영인턴기자 sylee230@sedaily.com

이세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