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건설업 경쟁력 강화 위해 산·학·연·정 뭉친다...‘미래건설정책 네트워크’ 출범

공동협의체 구성…19일, 제1차 본위원회 개최

국토교통부는 글로벌 성장 한계에 직면한 건설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19일 한강홍수통제소에서 민관 공동협의체인 ‘미래건설정책 네트워크’ 제1차 본위원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미래건설정책 네트워크는 건설업과 관련한 각종 제도를 국제적 기준에 맞도록 개선하기 위해 산·학·연·정이 함께 논의하는 상시 협의체다. 칸막이식 업역 체계 개선, 발주제도 변별력 제고 등 장기간 개선이 어려웠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우리 건설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다양한 전략에 대해 의견을 공유할 예정이다.

네트워크는 ‘본위원회’와 ‘실무위원회’로 구성된다. 실무위원회는 각 주제별로 공공기관, 협회, 개별기업, 연구원, 교수들이 참석해 업계 간 쟁점사항에 대해 논의하고 합의를 도출한다. 본위원회는 각 단체 대표들과 외부 전문가들이 실무위원회에서 검토한 안건에 대해 실제 이행 가능성을 점검하고 최종 확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날 제1차 본위원회에서는 건설시장 건전화와 해외건설 진출 전략, 건설안전제도 이행력 제고 등 여러 현안사항과 향 후 네트워크 운영계획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오늘 논의한 주제 이외에 제4차 산업혁명 및 투자개발형(PPP) 사업 활성화에 대응한 산업체계 개편과 신성장동력 발굴, 건설 근로자들의 처우 개선, 건설엔지니어링 활성화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관련기사



국토부는 앞으로 본위원회를 두 달마다 1회, 실무위원회는 매달 1회씩 개최하여 이견이 없는 과제부터 합의하여 확정할 계획이다. 산업 체계 개편 등 중·장기 과제는 지속적인 논의를 거쳐 ‘건설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김경환 국토부 제1차관은 “미래건설정책 네트워크를 통해 그간 미뤄왔던 현안들에 대해 치열하게 논의하여, 건설업계의 위기대응 능력을 한층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네트워크와 업계 간담회, 현장 방문 등을 통해 소통채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