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슈퍼 박테리아, 지난 8월에 이어 전북 종합병원서 또 발견

전북 종합병원에 입원 중인 A씨(69)에게서 발견된 슈퍼박테리아의 일종인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출처=구글전북 종합병원에 입원 중인 A씨(69)에게서 발견된 슈퍼박테리아의 일종인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출처=구글




지난 8월에 이어 또다시 전북 전주시 종합병원에서 슈퍼박테리아 감염 환자가 발생해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19일 전북 전주시 종합병원에 따르면, 지난 15일 중환자실에 입원 중이던 폐암 환자 A씨(69)에게서 슈퍼박테리아의 일종인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이 발견됐다.

카바페넴은 장내세균에 쓰이는 항생제 중 하나로, CRE는 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을 말한다. 주로 신체 접촉 등을 통해 감염되며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제는 유통되지 않는다.


병원 관계자에 따르면, A씨는 병원에서 폐암 수술을 한 뒤 줄곧 항생제 치료를 받아왔다.

관련기사



지난달 7일 폐암 수술을 받은 A씨를 상대로 정기 검사를 하던 도중 CRE가 검출됐고 병원은 타 환자의 감염을 우려해 검사를 확대한 결과, A씨와 같은 병실에 입원했던 B씨(69)도 CRE에 감염된 것을 확인했다.

이어 병원은 A씨와 B씨를 격리병동으로 옮기고 중환자실에 있던 나머지 환자 7명도 각각 검사를 실시한 뒤 다른 병실로 이동 조치를 내렸다.

CRE는 신체 접촉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지만, 두 환자가 지닌 세균 유전형이 달라 환자 간 전파는 아닌 것으로 병원 측은 밝혔다.

최근 서울과 부산, 대구 등의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슈퍼박테리아가 확산한 가운데 전북에서는 동일 병원에서만 지난 8월에 이어 두 번째 감염자가 나왔다.

병원 관계자는 “같은 병실에 머물렀던 환자들 이외에 A씨가 다른 환자와는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며 “두 환자에 대해서는 항생제 종류를 바꿔 기존 치료를 이어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이세영인턴기자 sylee230@sedaily.com

이세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