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새누리 탈당 40명이냐 20명이냐 따라 파급력 극과극

새누리당 비주류 황영철 의원이 20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비주류 모임 결과를 밝히며 “탈당 구체화 위한 실행에 돌입한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새누리당 비주류 황영철 의원이 20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비주류 모임 결과를 밝히며 “탈당 구체화 위한 실행에 돌입한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비박계의 탈당이 임박한 가운데 내년 상반기로 예상되는 대통령 선거가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는 4당 체제로 치뤄 질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대선 후보 단일화를 놓고 각 당간 복잡한 셈법과 합종연횡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4당 체제의 대선은 지난 87년 대선 이후 30년만에 처음이다. 지난 87년 치뤄진 13대 대선은 여당인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후보와 야당의 이른바 ‘3김’으로 통하는 통일민주당의 김영삼, 평화민주당의 김대중, 신민주공화당의 김종필 후보가 나와 여1 야3 구도였다. 92년 치뤄진 14대 대선에서는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통일국민당의 후보가 막판에 나와 16.3%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양당체제로 치뤄졌다. 97년의 15대 대선 역시 여당인 신한국당의 이회창 후보에 맞서 이인제 후보가 탈당해 독자 출마하는 등 여권이 분열됐지만, 야권의 DJP(김대중+김종필) 연합을 감안하면 사실상의 2당 체제로 선거가 치뤄진 것이다.

2002년 이후에는 양당 구도의 대선 구도가 고착됐다. 4당 구도의 대선은 오랜만이어서 각종 변수에 따라 정치권의 지각변동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비박계 탈당 규모가 40명이 넘을 경우 내년 대선에 미치는 파장은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관련기사



비박계 탈당 규모가 40명일 경우 국내 정치권은 더불어민주당(121석), 새누리당(88석), 비박당(가칭·40석), 국민의당(38석) 등 ‘빅4’로 재편될 수 있다.

더구나 제3지대의 주도권 경쟁에서 비박계가 국민의당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비박계의 탈당 규모가 40명이냐, 20명이냐에 따라 제3지대 주도권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올림픽에서도 금·은·동메달까지만 기억하지 4등은 기억하지 않는다”며 “대선에서 기호 3번을 달고 나가는 것과 4번을 달고 나가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3당에 속하느냐, 4당에 속하느냐에 따라 비박계의 영향력이 극과극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내년 1월 귀국 예정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영입에도 비박계가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다는 점에서 비박계의 탈당 규모는 일단 다다익선이다. 서양호 두문전략정치연구소 소장은 서울경제신문과 통화에서 “국민의당과 2석 차이에 불과하지만 비박계가 40명 수준으로 신당을 창당하게 되면 반 총장 영입은 물론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와의 제휴, 호남과의 전략적 연대 등 전국을 주도하는 효과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탈당 규모가 겨우 교섭단체구성을 하는 수준인 20명 수준이면 비박계의 탈당에 따른 파급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럴 경우 오히려 국민의당 중심의 권력재편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비박당이 4당으로 전락해 힘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 소장은 “유 의원이 탈당하면 빅3로 대선지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빅4가 되면 영향력은 상당히 반감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당 안팎에서는 유 의원이 탈당하면 40명의 비박들이 동반 탈당이 가능하지만, 김 전 대표만 탈당하면 절반인 20명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유 의원은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탈당을 결심하더라도 결행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해 당장 탈당하자는 김 전 대표와는 이견을 보여 탈당 시기가 미뤄질 수 있다. 유 의원은 “탈당은 국회의원 각자가 정치생명을 걸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바로 탈당하자는 분들도 있지만 누가 같이 결행을 할 것인지에 대해 점검이 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박계가 집단 탈당해 신당 창당을 추진하더라도 최대한 인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당에 남아 마지막까지 설득작업을 해야 한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유 의원이 탈당을 미루면서 김 전 대표만 탈당하면 교섭단체구성(20명)을 겨우 충족하는 20명을 겨우 넘길 것이라는 관측인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반 총장 영입을 통한 권력지형 재편은 고사하고 과거 자민련처럼 독자생존에 급급한 미니당으로 전락할 수 있다. 일부에서는 유 의원이 막판까지 당 잔류를 고집하며 ‘당장 탈당하자’는 김 전 대표를 애태우는 것은 비박계 내의 권력주도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는 차원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유 의원의 영향력을 인정하고, 신당을 만들더라도 자신의 위상을 인정해 달라는 것을 김 전 대표에게 말없이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