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日 신생아수 117년만에 100만명 아래로

가임연령 20~30대 여성수 ↓

둘째 낳는 부부도 크게 줄어

인구절벽 현실화 우려 커져





올해 일본의 신생아 수가 통계 작성 이후 117년 만에 처음으로 10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1970년대 이후 계속돼온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본 정부의 노력에도 인구절벽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22일 일본 후생노동성의 ‘2016년 인구동태 조사 추계’ 발표 예정치에 따르면 올해 일본 내 출생자 수는 98만1,000명으로 추산됐다. 이는 지난해 신생아 수인 100만5,677명보다 2만명 이상 감소한 것이며 아이가 가장 많이 태어났던 1949년도의 40%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출산 가능성이 높은 젊은 층이 감소한데다 육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커 둘째를 낳는 부부가 줄어든 것이 저출산의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짚었다. 특히 가임연령으로 분류되는 20~30대 여성인구는 지난 10월 기준 약 1,366만명으로 10년 전보다 20%나 줄어들었다.

관련기사



결혼 커플 자체가 감소한 것도 원인으로 꼽혔다. 일본에서 올 들어 7월까지 결혼한 커플은 총 36만8,220쌍으로 전년동기 대비 0.7% 감소했다. 초혼연령도 올라가는 추세로 지난해 일본의 평균 초혼연령은 남성이 31.1세, 여성이 29.4세로 나타났다. 만혼화로 첫 아이 출산연령이 올라가면서 둘째아이를 갖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여성 한 명이 평생 출산하는 아이의 수를 나타내는 ‘합계 출산율’은 소폭 증가했지만 전체 출산율을 끌어올리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2015년의 합계 출산율은 1.45명으로 전년보다 0.03%포인트 올랐으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2005년도(1.26명)보다 상승했다.

신문은 “경제적 이유로 출산을 꺼리는 가정도 적지 않다”며 “안정된 인구 수를 토대로 경제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고령자에게 초점이 맞춰진 사회보장예산을 출산 및 육아 분야로 재편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본은 1990년대 중반부터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다. 생산인구(15~64세) 감소로 내수는 큰 폭으로 줄었으며 경제도 장기적으로 침체됐다. 인구감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최근 내각에 인구담당 부서를 만들어 기업의 초과근무를 규제하고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