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방사선 치료후 암 악화되는 부작용 규명됐다

배인화 원자력의학원 박사팀 연구 통해 밝혀

방사선에 '인터루킨-4' 3배 늘어 암 전이 가속

마이크로RNA-340 등과 처리시 부작용 방지가능

배인화 원자력의학원 박사/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배인화 원자력의학원 박사/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


방사선 치료 부작용으로 암세포가 전이되는 이유가 밝혀져 치료제 개발에 물꼬가 트였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배인화(사진)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팀이 이 같은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고 22일 밝혔다.

관련기사



배 박사팀은 방사선 처리시 발현이 증가하는 ‘인터루킨-4’(활성 면역세포 성장 자극·분화 기능)가 암의 전이 속도를 높이며 특히 방사선 처리후 인터루킨-4가 13배 증가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한 인터루킨-4의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RNA-340, 마이크로RNA-429를 찾아냈다. 마이크로RNA는 세포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로서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암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배 박사팀은 마이크로RNA-340 및 429를 방사선과 함께 처리하면 인터루킨-4의 발현을 낮춰 암 악화를 막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배 박사팀은 앞으로 방사선 치료시 늘어나는 암 전이 인자를 발굴하고 이를 억제하는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암생물학 학술지인 온코타깃의 지난달 2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