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도 러도 "핵무장 강화" ...냉전시대 군비경쟁 망령 엄습

푸틴 "미사일 성능 향상" 주문에

트럼프 "핵증강 필요" 즉각 맞불

WP "핵감축 노력 물거품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잇따라 핵무장 강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냉전시대의 핵 경쟁 재연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22일 자신의 트위터에 “미국은 세계가 핵무기와 관련한 분별력을 갖게 되는 시점까지 핵 능력을 큰 폭으로 강화하고 확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전날 미군 고위장성들과 면담한 데 이어 푸틴 대통령이 이날 몇 시간 앞서 핵전력 강화를 강조하자 이같이 즉각 맞불을 놓았다.



푸틴 대통령은 22일 오전 모스크바에서 “전략핵무기 부대의 전투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현존하거나 앞으로 개발될 미사일 방어체계를 돌파할 수 있을 정도로 미사일 성능이 강화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러시아는 지난 10월 미국과 체결한 무기급 플루토늄 관리 및 폐기 협정을 잠정 중단하고 다시 핵 경쟁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인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의 도발을 트럼프 당선인이 강경발언으로 맞받은 데 대해 워싱턴포스트(WP)는 “미러 양국이 핵무기 수와 크기를 줄이기 위해 수십년에 걸쳐 진행된 노력을 되돌릴 수 있는 새로운 군비경쟁의 망령을 불러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러시아는 전 세계 핵전력의 92% 이상을 차지하는 핵 강대국이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올 1월 기준 전 세계 핵탄두는 1만5,395개로 러시아가 7,290개로 가장 많고 미국이 7,000개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중국 260개, 인도 100∼120개, 이스라엘 80개, 북한은 10개의 핵탄두를 가진 것으로 추정됐다.

관련기사



군축·핵무기비확산센터는 “트럼프가 새로운 핵무기 경쟁 레이스를 제안했다”며 “핵무기 능력 확대는 글로벌 재앙이라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의 핵 능력 강화·확대 발언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추진해온 ‘핵무기 없는 세상’ 정책과도 정반대로 가는 것이다.

미러 간 핵 경쟁 우려가 불붙자 트럼프정권인수위원회의 제이슨 밀러 대변인은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은 핵확산 위협에 대한 언급으로 핵무기가 불량정권이나 테러리스트에게 퍼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의미”라고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뉴욕=손철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