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초중고 독감환자 사상최대] 정부 또 늑장 대응...피해 더 키웠다

의심환자 역대최고치 넘은 후

"필요시 조기 방학 검토" 발표

학기 중 독감 유행 대비한

구체적 행동 지침도 부실

다른 신종플루 유행 가능성도

초·중·고교생 계절 독감(인플루엔자) 의심환자가 외래 환자 1,000명당 153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깨는 등 학생을 중심으로 독감이 급증하고 있다. 이런 독감 대유행 사태의 일차적인 원인은 예년보다 빠른 유행 시기에 있다. 보통 독감은 겨울 방학 이후인 1월 초에 시작하지만 올해는 이보다 한 달가량 이른 12월 초부터 유행했다. 미처 예상하지 못한 일이었지만 정부의 늑장 대응도 독감 대유행, 특히 학생들의 피해를 키우는 데 일조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실제로 올해 독감 유행주의보는 지난 12월8일 발령됐지만 정부는 20일에야 “필요시 조기 방학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20일 전 주인 11~17일 주에 이미 초·중·고교생 독감 의심 환자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점까지 감안하면 한참 늦은 ‘뒷북 대응’이었다.


학기 중에 독감 등이 유행할 경우에 대비한 구체적인 행동 지침도 부실하다. 교육부가 각 학교에 보건교육 강화, 조기 방학, 등교 중지 등을 권고하는 것이 고작이기 때문이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감염병 유행 시 환자를 빨리 격리시키는 것은 피해를 줄이는 기본적인 방법”이라며 “학교 내 환자는 즉시 등교를 하지 않도록 한다든지 환자가 일정 수 이상이면 등교 중지, 조기 방학 등을 어느 정도 강제한다든지 구체적인 매뉴얼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럼에도 정부는 여전히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조명연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과장은 “학교마다 학사 일정이 있기 때문에 조기 방학 권고, 보건 교육 강화 이상으로 정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며 “더구나 학기 중에 독감 유행은 처음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 밝혔다. 보건 당국 역시 “백신 의무 접종 대상인 65세 이상 어르신과 영유아에 대한 접종은 철저히 했다”는 점만 강조하고 있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학생들의 독감 백신 접종률은 매년 30~40%에 그치는데 보건 당국도 이를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독감 유행이 더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올해 독감 유행 기간 검출된 바이러스는 모두 A H3N2형인데 또 다른 A형 신종플루(A H1N1형)도 추가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4년 동안 두 유형의 바이러스가 모두 유행했다. 현재 독감 백신은 두 유형의 독감 모두 예방 가능하기 때문에 백신을 이미 맞았다면 걱정이 없지만 접종 전이라면 문제가 된다. 특히 초봄에는 B형 독감 유행도 우려된다. 국내 독감 환자는 A형과 B형이 각각 60%, 40%를 차지하는데 겨울철에는 A형이 유행하고 봄철에는 B형이 확산하는 패턴을 보인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백신을 안 맞은 사람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접종하고 독감 환자는 추가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집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활동 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