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AI 인체감염 막아라...고위험군 급증…

대전 중구 오월드 ‘버드랜드’에서 직원이 조류인플루엔자(AI) 예방을 위해 내부 소독을 하고 있다./대전=연합뉴스대전 중구 오월드 ‘버드랜드’에서 직원이 조류인플루엔자(AI) 예방을 위해 내부 소독을 하고 있다./대전=연합뉴스


전국을 휩쓸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는 인체 감염이 확인된 H5N6형이다.

2014년 4월부터 지금까지 중국에서 17명이 이 유형의 바이러스에 감염됐고 이 가운데 10명이 숨졌다. 이전에 AI 바이러스가 퍼졌을 때보다 보건·방역 당국의 조치가 강해진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지난달 16일 음성군 맹동면 용촌리의 육용오리 사육 농가에서 AI가 발생한 이후 23일까지 충북에서 살처분된 가금류는 104개 농가, 301만 마리에 달한다.

AI가 발생한 지 한 달이 조금 더 지났지만 피해가 가장 컸던 2014년 1∼4월(180만9,000 마리) 때보다 66%(120만 마리)나 더 많이 살처분됐다.

이 과정에서 AI에 노출된 고위험군은 22일 기준, 1천458명에 달한다. 농장 종사자나 살처분 용역업체 직원, 공무원을 비롯한 대응 요원 등이다.

이들이 살처분 작업 현장에 투입되기까지의 절차는 복잡하다.

사전에 독감 백신을 맞아야 하고 인체 감염 예방교육도 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살처분 현장에 투입되는 게 아예 불가능하다.


현장에서는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를 복용하고 개인 보호구를 착용해야 ‘AI 발생 현장 출입증’이 발급된다. 이런 절차를 제대로 이행했다면 AI 바이러스가 인체에 감염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게 보건·축산 당국의 얘기다.

관련기사



충북도는 살처분 도중 AI가 인체에 감염되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 국가지정 입원치료 격리병원과 격리병상도 확보했다.

다행히 국내에서는 AI 바이러스가 인체에 감염됐다는 소식은 없다.

충북도는 혹시 모를 AI 인체 감염을 막기 위해 매일같이 모니터링하고 있다. 정부의 AI 대응 지침상 살처분 작업 후 5일, 10일째 되는 날 이상 증상 여부를 확인하면 되지만 충북도는 열흘간 매일 전화 확인을 하고 있다.

1천458명의 고위험군 중 71%인 1천41명의 증상 유무를 파악한 결과 발열, 기침, 인후통, 콧물,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살처분 인력뿐만 아니라 농장 종사자들도 마찬가지다.

나머지 417명은 모니터링 중이지만 이상 증상을 호소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충북도는 예방 조치도 강화했다. 자체 예산을 들여 체온계·손소독제·마스크 380세트를 사 진천·음성·괴산의 살처분 현장에 제공한 데 이어 1천140개 세트를 추가 구입하기로 했다.

AI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살처분 대상 농장이 더 많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살처분 작업 때 보호구 착용, 항바이러스제 복용 등 예방 조치 사항을 준수한다면 AI 바이러스가 인체에 감염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작업 중 땀이 나고 덥더라도 마스크나 보호구를 벗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