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맞벌이·집 없는 신혼부부 아이 덜 낳는다

통계청, 신혼부부 첫 전수조사

자료=통계청자료=통계청


맞벌이와 집 없는 신혼부부가 외벌이와 집 있는 이들에 비해 아이를 덜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과거 5년 이내 혼인신고한 부부를 전수조사한 ‘2015년 기준 신혼부부 통계 결과’를 26일 처음으로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총 신혼부부는 147만2,000쌍으로 집계됐다.


먼저 맞벌이와 외벌이 신혼부부의 자녀 유무 비중이 눈길을 끈다. 2015년 10월 기준 맞벌이 부부는 전체의 42.9%를 차지했다. 맞벌이 신혼부부 50만5,559쌍 가운데 자녀가 있는 부부는 전체의 57.9%(29만2,826쌍)에 달했다. 외벌이 부부(70.1%)보다 12.2%포인트 낮았다. 맞벌이 부부의 평균 출생아 수도 0.72명으로 역시 외벌이 부부(0.90명)보다 0.18명 적었다.

관련기사



주택 보유 여부에 따라서도 자녀 수가 달랐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 중 자녀를 출산한 부부는 68.4%였지만 무주택 부부는 그보다 6.9%포인트 낮은 61.5%로 집계됐다.

평균 출생아 수 역시 주택을 소유한 부부는 0.88명, 무주택 부부의 경우엔 0.77명이었다.

신혼부부 10쌍 중 6쌍(57.4%)은 결혼 5년이 지난 후까지 자기 소유의 주택을 장만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맞벌이 부부는 둘 다 바빠서 자녀를 덜 낳는 것으로 보인다”며 “상대적으로 거주가 안정돼 있으면 아이를 더 많이 낳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