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정찰·환자 수송에서 전투까지…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 3년 내 개발

새로 개발될 무인정찰/전투차량 구성도. 군은 오는 2019년까지 39억원을 들여 전장을 감시, 정찰하고 제한적인 전투까지 수행할 수 있는 보병용 무인 다목적차량을 개발할 계획이다./사진제공=방위사업청새로 개발될 무인정찰/전투차량 구성도. 군은 오는 2019년까지 39억원을 들여 전장을 감시, 정찰하고 제한적인 전투까지 수행할 수 있는 보병용 무인 다목적차량을 개발할 계획이다./사진제공=방위사업청




감시정찰과 근접전투까지 할 수 있는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이 개발된다.


방위사업청은 전시와 평시 감시정찰, 수색, 근접전투, 전투물자와 환자 수송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이 사업에는 올해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총사업비 약 39억원(정부 22억원, 민간 17억원)이 투입된다.

관련기사



방사청과 한화테크윈㈜이 공동 개발하는 무인차량은 도로 등의 기반 시설이 없거나, 들판 또는 험한 지형 등에서 원격으로 기동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다. 중량 1.5t 이하로 개발되며 탑재된 감시 장비와 센서, 무인기 등을 활용해 다양한 작전 지형에서 적의 위치와 규모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장착된 화기와 원격통제를 통해 근접전투 임무까지 수행한다.

일부 장비를 뜯어내고 물자·환자 운반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 보병 기동로에 대한 물자 수송이나 구급차 접근이 가능한 지역까지 환자 이송 임무도 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방사청 유해일 계획운영부장(육군 준장)은 “보병용 다목적 무인차량의 운용개념과 요구성능이 정립된다면 이른 시일 내에 군으로부터 관련 소요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며 “무인수송로봇 등의 다양한 무인체계 개발에 기술과 운용개념 등을 적용할 수 있어 지상 무기체계 무인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