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우병우 정조준하는 특검, 이르면 내주 소환 가능성

검찰서 수사기록 넘겨 받아

직무유기·직권남용 등 조사

2715A05 우병우 의혹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26일 검찰에서 우병우 전 민정수석비서관의 수사기록 일부를 넘겨받아 검토 작업에 들어갔다. 우 전 수석의 직무유기·직권남용 의혹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는 신호탄이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우 전 수석의 개인비리 의혹을 수사한 검찰 특별수사팀(팀장 윤갑근 검사장)으로부터 수사 기록 사본 일부를 넘겨받았다. 특검팀 관계자는 “특검팀 수사 내용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개인비리 의혹 수사기록이기 때문에 일단 참고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기록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인 수사 계획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특검팀이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강제수사에 착수한 날 청와대 최고 실세 중 하나였던 우 전 수석 수사도 동시에 돌입한 것이다. 특검팀이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부분은 세월호 수사 당시 수사팀에 대한 외압 및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 상대 감찰 방해 등 ‘직권남용’ 혐의로 알려졌다. 특히 세월호 수사 방해 의혹은 상대적으로 수사 진척이 빠른 상태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일단 우 전 수석 소환을 서두르지 않고 혐의를 입증할 주변 단서들을 최대한 확보해 수사망을 좁혀간다는 방침이다. 직무유기 관련 혐의 입증이 쉽지 않은데다 우 전 수석 본인도 수사 대비에 철저히 나서고 있는 상태인 만큼 섣불리 치고 나가기가 부담스러운 측면도 있다.

관련기사



우 전 수석의 소환조사는 이르면 다음주쯤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검팀 내부에서는 소환 여부와 관계없이 우 전 수석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기류가 흐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수사에서도 우 전 수석 측의 비협조가 상당한 수사 지연을 초래한 만큼 이런 상황을 사전에 고려해 수사에 속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우 전 수석의 개인비리 의혹을 수사했던 검찰 특별수사팀은 파견 검사들을 원래 소속 검찰청으로 복귀시키면서 사실상 해산했다. 우 전 수석에 대한 본격 수사 착수라는 기대를 모았지만 126일간의 수사 기간 동안 구체적인 의혹 해소가 이뤄지지 않아 ‘실패한 수사’라는 지적이 나왔다. 수사를 지휘한 윤갑근 팀장은 “국민들이 의혹을 해소할 수준의 답을 내놓지 못해 민망하다”고 말했다. 검찰은 마무리 짓지 못한 나머지 수사를 서울중앙지검 특수1·2부를 중심으로 계속 이어나갈 방침이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