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내년 7월부터 8개월간 입주물량 쏠려

향후 2년 간 입주물량이 78만여 가구로 예상돼 주택시장 핵심 변수로 입주물량이 거론되는 가운데, 내년 7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8개월 동안 공급이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7년 7월~2018년 2월 8개월 간 월평균 입주물량은 3만8,89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월 평균 입주물량(2만4,311가구)의 1.6배 많은 수준이다. 이 중 내년 12월의 입주물량 4만9,662가구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후 월단위로 가장 많다고 업체는 설명했다.

지역별로 분류하면 이 8개월 간 입주물량은 경기도(총 12만5,735가구)가 가장 많다. 인천(2만904가구), 서울(1만2,723가구)도 1만가구 이상 입주물량이 예정돼 있다.


이 같이 입주물량이 대거 쏟아짐에 따라 미분양, 역전세난 등의 현상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과거 2002년~2008년 연평균 입주물량은 약 33만가구였는데, 당시 준공(입주) 후 미분양은 2~3배 가량 급증했으며, 할인 분양과 이에 따른 반발로 기존 계약자 입주 거부 사태, 청약 경쟁 미달사례 등이 속출했다. 2008년 하반기 서울 강남에서 세입자를 못 구하는 사례도 있었다.

관련기사



전세가격 급락은 매매시장의 불안요인이 될 수도 있다. 보증금 반환이 어려워진 집주인을 중심으로 급매물이 쏟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주택가격이 5% 하락할 경우 주택담보대출비율(LTV) 60%를 초과하는 한계가구의 비중은 10.2%까지 상승한다는 가계부채 관련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주택시장 내 공급과잉 영향이 확대되지 않도록 정책금융뿐만 아니라 민간 중심의 입주자 전용 대출상품의 다양화 노력도 필요하다”면서 “전세입자가 집주인의 보증금 반환 여력을 우려하지 않도록 전세금 반환을 담보하는 보증보험 상품의 활성화 등 금융권을 중심으로 대응 여력을 미리미리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완기기자 kingear@sedaily.com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