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단독]서울시 역사교사 10명 중 8명 "역사교과서 국·검정 혼용 반대"

교사 대토론회서 우려 쏟아내

서울지역 고등학교 역사교사 10명 중 8명은 교육부의 국정 역사교과서 시범운영 후 국·검정 혼용 방안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서울 시내 역사교사 70여명을 상대로 긴급 설문조사를 한 결과 80.8%가 교육부가 지난 27일 내놓은 현장 적용 방안에 대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했다.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자체를 반대한다는 대답은 93.2%에 달했다.

우여곡절 끝에 교육부가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적용 방안을 확정했지만 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들의 반발이 커 현장에 제대로 적용될지는 미지수다.


이날 서울교육청에서 열린 ‘서울 역사교사 대토론회’에 참석한 150여명의 고등학교 역사교사들도 교육부의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적용 방안에 우려를 쏟아냈다. 이세연 미림여고 역사교사는 “객관적으로 오류가 많은 교과서를 공부하면 이를 보완해주는 보조 교재를 추가 구입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정치성에 따른 학내 분열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관악구에서 온 10년 경력의 한 역사교사는 “국·검정 혼용 체제가 되면 수능 준비생들의 한국사 공부 분량이 늘어나는 것은 기정사실”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역사교과서 국정화 자체에 반대하는 의견도 나왔다. 조왕호 대일고 역사교사는 “국정 교과서는 내용 편향성을 떠나서 체제나 구성·디자인 등이 그동안 발전해온 흐름과 역행한다”며 “2015개정교육과정의 역사교과서 편찬 기준은 역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 함양이 핵심 목표지만 국정 교과서는 오히려 주입식·암기식 교육을 강조한다”고 지적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교육부가 내년에 연구학교 지정을 통해 국정 역사교과서를 시범 운영하겠다는 방안을 직접 막겠다는 입장이다. 조 교육감은 이날 토론회에서 “연구학교 지정이라는 꼼수를 동원해 내년부터 부분적으로 강행하겠다는 게 교육부의 의도”라며 “연구학교 지정 권한은 교육감에 있는 만큼 적어도 서울시에서는 연구학교 지정을 1년간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김민형·박진용기자 kmh204@sedaily.com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