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정 중심으로 떠오른 ‘여야정 정책협의체’… 4당 회동서 합의

주승용 “현재 ‘식물정부’… 국회가 국정 주도권 가져야”

정병국 “사안별 태스크포스 만들면 실질적 성과”

30일 오전 국회 본청 국회의장실에서 4당 여야 원내대표와 정세균 국회의장이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당 주승용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 정세균 국회의장, 새누리당 정우택 원내대표, 개혁보수신당(가칭) 주호영 원내대표. /연합뉴스30일 오전 국회 본청 국회의장실에서 4당 여야 원내대표와 정세균 국회의장이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당 주승용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 정세균 국회의장, 새누리당 정우택 원내대표, 개혁보수신당(가칭) 주호영 원내대표. /연합뉴스




여야 4당 원내대표가 30일 ‘여야정 정책협의체’ 재가동에 합의했다. 이 협의체는 새해부터 본격적으로 국정 운영의 주도권을 쥘 것으로 보인다.

주승용 국민의당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여야 4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지금 국정이 거의 마비돼 있는 ‘식물정부’가 되다시피 해 AI 문제에 있어서도 거의 무방비 상태”라며 “이런 상황에서 국회가 주도권을 갖고 국정을 운영해 나가야 한다”면서 여야정 정책협의체의 보강을 제안했다.


기존 여야정 정책협의체는 유일호 경제부총리와 여야 정책위의장으로 구성, 민생경제문제에 있어 정책 조율을 담당하는 기구였다. 이를 격상시켜 여야 4당 원내대표가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주승용 원내대표의 주장이다.

관련기사



정병국 개혁보수신당(가칭) 창당준비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사안별로 여야협의체 형식의 태스크포스(TF)를 만들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예를 들어 5대 기간산업 구조조정, 규제개혁 등은 어느 정권이 출범해도 풀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그는 “사안별로 여야 TF를 만들어 접근하면 (이 같은 문제를) 사전에 풀 수 있지 않겠느냐”며 “광범위하게만 여야정 협의체를 구성하면 (실질적으로) 아무 것도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주승용 원내대표는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에게 ‘국회와의 소통’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이날 비대위-중진연석회의에서 “황교안 권한대행과의 전화통화에서 안보문제를 철저히 챙겨달라고 당부했고 민생에 빈틈이 있어선 안 된다고 주문했다”면서 “특히 국회와의 소통을 소홀히 말라고 했고 황 대행도 이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