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6년 마지막 날 촛불집회…“박근혜 보내고 새해 맞자”

촛불집회 누적 인원 1천만명 돌파

집회 후 서울 보신각 타종행사 동참

2016년 마지막날인 31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제10차 촛불집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2016년 마지막날인 31일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제10차 촛불집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2016년 마지막 주말 촛불집회가 31일 서울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열렸다. 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후 본격 시작된 촛불집회 이후 10번째로 열린 이날 집회에서는 집회참가자 누적인원이 1,000만명을 돌파했다.

1,50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연대한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10차 집회명을 ‘송박영신(送朴迎新) 범국민행동의 날’로 하고 다양한 행사를 열었다. 박근혜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 하다는 의미인 ‘송박영신’은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다는 뜻인 송구영신(送舊迎新)에 박 대통령 성을 넣은 집회용 조어다.


이날 집회는 새해에도 박 대통령 퇴진을 위한 동력을 이어가자며 의지를 다지는 시간으로 채워졌다.

오후 5시30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시작된 사전행사에서는 시민 자유발언이 진행됐다. 이어 오후 7시부터 본집회가 열렸고, 오후 8시부터는 ‘송박영신 콘서트’가 진행됐다.

콘서트에는 록밴드 시나위 기타리스트 신대철이 전인권과 함께 무대에 올라 신대철의 아버지인 신중현의 대표곡 ‘아름다운 강산’을 열창해 큰 호응을 얻었다.

‘아름다운 강산’은 애초 친박단체 맞불집회에 등장했다. 이에 신대철은 본래 곡이 쓰인 맥락상 친박단체 집회와는 맞지 않는다는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뒤 자신을 촛불집회에 출연시켜 달라고 공개적으로 요청했다.

콘서트가 끝나고 이전과 마찬가지로 청와대와 국무총리공관, 헌법재판소 앞 100m까지 접근하는 행진이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행진이 끝나고 보신각으로 집결해 제야의 종 타종행사에 동참할 예정이다. 타종이 33차례 이뤄지는 것처럼 ‘제야의 나팔’을 33회 부는 ‘시민 나팔부대’도 보신각에 등장한다.

이밖에 오후 10시30분 통인동 커피공방 앞에서는 세월호 희생자 유족들이 시민들에게 감사하는 뜻으로 카레 덮밥 4천160그릇을 나누는 행사도 열렸다.

이번 10차 집회에서는 누적인원이 1,000만명을 넘었다. 퇴진행동은 31일 오후 9시 집회 참가자 누적 인원이 1,000만명을 넘었다고 밝혔다.

퇴진행동은 오후 9시 20분쯤 “서울 광화문 광장은 지금 발 디딜 틈 없이 계속 운집 중이고, 90만명 이상 집결했다”면서 “시간이 갈수록 더 많은 인파가 모이고 있는데, 시민들은 박근혜를 보내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겠다는 마음 다짐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집회와 관련해 연인원 1,000만명 참가는 우리나라 역대 집회·시위 사상 유례가 없는 진기록이다.

관련기사



31일 부산 서면 중앙로에 시민들이 모여 박근혜 퇴진 촛불 집회를 열고 있다. /부산=연합뉴스31일 부산 서면 중앙로에 시민들이 모여 박근혜 퇴진 촛불 집회를 열고 있다. /부산=연합뉴스


이날 10차 집회에 모인 시민들은 오후 9시가 넘어서자 “박근혜를 구속하라”, “김기춘을 구속하라”, “우병우를 구속하라”, “황교안은 사퇴하라”, “재벌들도 공범이다”, “새누리당 해체하라”, “헌법재판소는 조기탄핵 결정하라”, “주말에는 쉬고 싶다. 제발 좀 내려와라” 등의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집회에 참석한 한요석(46)씨는 “계속 이어져 온 촛불집회가 올해 마지막 집회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박 대통령이 물러날 때 까지 내년에도 집회는 계속 된다고 하니 시간이 될 때마다 나올 계획이다”고 말했다.

가족과 함께 집회 현장에 나온 대학생 유수영(22·여)씨는 “보신각 타종행사에 매년 참석 했는데, 올해는 박근혜 퇴진이라는 국민적 목표가 있고 그 행사를 광화문에서 하고 있어 이 자리에 나오게 됐다”면서 “새해에는 헌법재판소가 빨리 대통령 탄핵 심판을 마치고 새로운 대통령이 뽑혀 국민들에게 희망찬 날들이 많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10차 촛불집회는 서울을 비롯해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춘천, 전주, 제주 등 전국 각지에서 진행됐다.

퇴진행동은 이번 집회 참가자에 대해 서울 100만명, 지역 10만 4,000명 등 전국적으로 110만4,000명이 운집했다고 밝혔고, 경찰은 서울 6만 5,000명, 지방 1만 8,000명 등 전국적으로 8만 3,000명이 모인 것으로 추산했다.

친박단체들도 박 대통령 탄핵 무효를 촉구하는 맞불집회를 열었다.

‘탄핵 기각을 위한 국민총궐기 운동본부(탄기국)’는 31일 오후 3시부터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7차 탄핵반대 태극기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촛불을 보내고 태극기를 맞아들인다는 뜻으로 집회 주제를 ‘송화영태(送火迎太)로 진행했다. 애초 집회는 오후 2시에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주최 측이 대한문과 서울광장 사이 도로를 참가자에게 열어달라며 경찰에 요구해 1시간가량 늦게 시작했다.

주최 측은 오후 4시 기준 100만명이 집회에 참석했다고 주장했고, 경찰은 오후 3시 순간 운집 인원을 1만3,000명으로 집계했다. 맞불집회 참가자들은 태극기와 관련한 물건을 들고 집회장에 나와 정수라의 ‘아 대한민국’, 심수봉의 ‘무궁화’ 노래를 합창하기도 했다.

같은 시간 다른 친박단체인 ‘새로운 한국을 위한 국민운동’은 종로구 동아일보사 앞에서 ‘탄핵반대 국민대회’를 열었다. 50대 이상의 중·장년 층이 주로 참가한 동아일보 앞 집회와 관련해 주최 측은 5,000명이 모였다고 밝혔고, 경찰은 참석자를 2,500명으로 집계했다.

경찰은 이날 서울 도심에 경비인력 230개 부대 1만8,400명를 투입해 촛불집회와 맞불집회의 안전관리에 나섰다.

/김정욱·박우인·이종호기자 mykj@sedaily.com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