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국내 유일 ‘부식제어 R&D거점’으로 부상한다

극한환경용 구조물 부식제어 융합기술기반구축사업 유치

도료도장분야 술고도화를 위한 장비구축, 기술지원 등 200억원 확보

부산이 못부터 자동차, 교량, 선박, 해양플랜트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 꼭 필요한 제품의 마무리 공정이자 뿌리산업인 도료·도장(塗裝)기술의 거점이 된다.

부산시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의 ‘극한 환경용 구조물 부식제어 융합기술기반구축사업’ 대상으로 선정돼 5년간 200억 원의 사업비를 유치했다고 2일 밝혔다.


‘부식제어’란 녹스는 것을 막고 미관을 위해 제품에 도료를 칠하는 도장을 말하며 조선기자재 기업을 비롯한 자동차, 중공업, 건설 업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극한 환경용 구조물 부식제어 융합기술기반구축사업은 고온, 고압, 저온, 해상, 수중, 화학물질, 원자력 등 극한 환경용 구조물 부식제어기술의 안전성, 부식방지 도료 기술개발, 기업지원, 국제인증 대응, 고급기술인력 양성 등이 골자다.

1984년부터 국내 유일의 도장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부경대를 중심으로 부산테크노파크와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이 참여한다.

사업 총괄책임자인 박진환 부경대 공업화학과 교수는 도장 분야에서 30년 이상 연구한 것은 물론 국내 대기업의 도장 및 부식방식 기술 관련 연구·자문을 담당한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부경대는 참여기관들과 사업단을 구성해 극한환경용 구조물 부식제어기술의 안전성과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걸 맞는 기술개발, 기업지원, 국제인증 대응, 인력양성 등에 나선다.

관련기사



부경대 용당캠퍼스 1공학관에 들어설 사업단은 사업비 200억 원 가운데 143억 원을 부식제어 관련 최첨단 장비 구축에 투입한다.

도장한 제품이 실제 환경에서 어떤 내구성을 지니는지에 대한 신뢰성 평가를 할 수 있는 촉진내후성평가시스템을 비롯해 나노소재신뢰성시스템, 표면분석시스템, 도막성능평가시스템 등 무려 68점의 부식제어 관련 전문장비가 도입된다.

부산시는 장비구축, 기술고도화 지원, 인력양성 등을 지원하고 부산조선해양기자재협동조합은 관련 기업에 도료·도장 기술을 직접 지원하는 등 지역 기업의 관련 기술고도화를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사업단은 꿈의 나노물질인 그래핀(graphene)을 이용한 첨단도료 개발 같은 연구와 국내 도료·도장 관련 3만2,000개 기업은 물론 부식제어 기술을 필요로 하는 전 제조업에 대한 전폭적인 기술지원에 나선다.

특히 사업단은 자동차, 조선, 해양플랜트 등 부산을 중심으로 한 동남권의 도장 산업지원 및 육성,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플랫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식제어는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마무리공정으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기술인데도 지금까지 다른 분야에 비해 소외돼 경쟁력을 갖추지 못했다”며 “이번 사업으로 기술협력 거점을 구축해 부식제어 고도화 등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전문기업을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