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측근 "美 대선 해킹에 중국, 이란도 연루 가능성"

제임스 울시 前CIA 국장 주장

제임스 울시 전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3일(현지시간) 러시아의 ‘미국 대선개입 해킹’ 사건과 관련해 러시아와 함께 중국이나 이란도 연루됐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선 때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안보고문 역할을 한 울시 전 국장은 이날 CNN 방송의 ‘뉴데이’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해킹에는 하나 이상의 국가가 개입됐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번 해킹이 특정한 한 국가의 소행이라고 확정적으로 말해서는 안 된다. 그것(러시아의 단독 범행)이 맞는 것으로 판명 날 것 같지 않다”면서 “어느 한 집단의 유죄로 그려져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사안의 본질은 그것보다 훨씬 복잡하다. 이번 해킹은 한 목표물을 겨냥한 조직화된 작전이 아니다”면서 “오히려 죽은 영양의 사체에 많은 자칼이 몰려있는 상황과 같은 그런 것”이라고 지적했다. 울시 전 국장은 이어 “러시아의 소행이냐? 아마도 일부는 그럴 것이다. 중국이나 이란의 소행이냐? 아마 그럴 수도 있다”면서 “오늘 트럼프 당선인으로부터 좀 더 많은 것을 알아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울시 전 국장이 오늘이라고 언급한 것은 트럼프 당선인이 이날 정보기관의 기밀 브리핑을 받은 후 뭔가 새로운 내용을 밝힐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트럼프 당선인도 최근 기자들에게 “난 다른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것을 안다. 화요일(3일)이나 수요일쯤 알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그동안 ‘러시아가 트럼프의 당선을 돕고자 미국 민주당 전국위원회(DNC)와 힐러리 클린턴 캠프 인사들의 이메일을 해킹해 미국 대선에 개입했다’는 오바마 정부의 결론에 대해 “우스운 얘기로, 그런 일이 있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일축해 왔으며, 특히 오바마 정부의 대(對)러시아 제재에 대해서는 소극적 입장을 취한 반면 미국에 맞대응 조치를 하지 않기로 안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해서는 “똑똑하다”고 공개 칭찬했다.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