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미래부, 올해 4차산업혁명 총력 대응

지능정보화 기본법 개정

AI 개발 로드맵... 기술 연구개발 예산 투입

창업 거점으로 창조경제혁신센터 육성

정부가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등 4차 산업혁명의 물결에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기술 확보 전략을 세우고 지능정보화기본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6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이같은 내용의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올해 미래부는 △지능정보기술로 4차산업혁명 선제적 대응 △스타트업 생태계 공고화로 창조경제 성과 확산 △현장중심 과학기술 역량 강화 △융합과 혁신으로 신산업 창출 등을 4대 전략으로 내세웠다.

이에 따라 미래부 기존의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지능정보사회전략위원회로 확대 개편하기로 했다. 4차 산업혁명이 사회 전반에 획기적인 변화를 일으킴에 따라 범부처 간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에 2015년 도입된 정책의결기구인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기업, 학계 등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개편했다.

또 국가 사회전반의 지능정보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국가정보화기본법’을 ‘지능정보화 기본법’으로 개정할 방침이다.


5월 중 AI 연구개발에 대한 로드맵을 세우고 AI 기반 초연결 사회에 대비한 기술 개발에 139억원, 관련 기술인 두뇌 모방 반도체 개발에 50억원, 계산과학 육성에 53억원의 연구비를 투입한다.

관련기사



스타트업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경기도 성남의 판교 창조경제밸리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창업인프라가 우수한 대구 창조경제혁신센터, 경기 센터를 창업거점으로 육성한다.

이 외에도 기초과학자가 원하는 연구를 자유롭게 하도록 총 8,779억원을 투입하고 연구자 역량을 평가하는 RBS 방식을 도입한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알파고’처럼 새롭고 강력한 기술이 계속 나오고 있으며 이들이 극한 경쟁을 벌이는 지능정보사회가 도래했다”며 “미래부는 이 시대를 주도할 신성장 동력을 만들고 미래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지난 5일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미래부 기자실에서 2017년 미래부 업무계획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지난 5일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미래부 기자실에서 2017년 미래부 업무계획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미래창조과학부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