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서울시 '119 전문의료상담' 올해부터 24시간 운영

갑작스럽게 신체에 이상이 있을 때 자문을 하는 119 ‘전문의료상담’ 서비스가 연중 24시간 체제로 확대 운영된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상주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의료상담’을 기존 야간 운영에서 24시간 운영으로 확대한다고 6일 밝혔다.

전문의료상담 서비스는 시민들이 병원진료 결과 중 궁금한 사항을 문의하면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답변을 주거나, 심정지 환자와 같은 응급상황 시 최초 목격자인 시민이 올바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전문 응급처치 방법을 안내하는 제도다. 국번 없이 119를 누른 뒤 전문의료상담을 받고 싶다고 얘기하면 구급상황관리센터 내 전문의와 바로 전화통화 할 수 있다. 심정지 또는 중증외상과 같은 응급상황은 접수 즉시 구급대가 출동하고 3자 통화시스템을 통해 신고자에게 스마트 영상 응급처치 지도와 의료지도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진다.


지난 2012년 6월 개소한 구급상황관리센터에는 일 평균 920건의 전화가 걸려 온다. 이 중 응급처치 지도와 관련된 문의가 30%, 질병 상담이 14%, 구급대원 의료지도가 6%, 이송병원 안내 등이 3% 차지하고 있다.

관련기사



시 소방재난본부는 이 전문의료상담 서비스를 야간까지 확대 운영하고자 지난 5일 이경원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를 주축으로 한 서울시 19개 응급의료기관, 의료진 41명을 ‘의료지도의사’로 위촉했다.

이들은 서울종합방재센터 내 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365일 24시간 교대로 근무하면서 전문적인 응급처치 방법을 안내하고 시민들이 병원진료와 관련해 궁금해하는 사항에 답하는 등 의료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전문 의료상담서비스가 이제 주·야간 가릴 것 없이 제공돼 병원 전 단계 의료 접근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