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 미래에셋 이사회 의장에

경영투명성 강화, 책임경영 위해

이사회의장제 미래에셋대우·생명에도 3월말까지 도입

김석동, 박현주 인연도 화제



김석동(64·사진) 전 금융위원장이 미래에셋자산운용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된다.

관련기사



미래에셋그룹은 8일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요 계열사에 이사회 의장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계열사 이사회 의장제 도입은 미래에셋자산운용부터 시작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조만간 이사회를 열어 김 전 위원장을 이사회 의장에 선임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은 “계열사 사장들이 겸직하고 있는 이사회 의장직을 외부인사에게 개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21면으로 계속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


미래에셋그룹은 이사회 의장제 도입으로 금융투자 업계 1위 기업으로서 책임경영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미래에셋그룹은 지난해 말 통합 미래에셋대우증권을 출범시키며 전체 고객자산이 361조원으로 5년 전보다 3배 이상 늘어났다. 박 회장은 “그룹의 성장에 걸맞게 이사회의 독립적 운영과 외부인사들의 건강한 비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미래에셋그룹의 이사회 의장제 도입은 지난해 8월 개정된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것이기도 하다. 올해 3월부터 증권사 등 제2금융권 회사들도 원칙적으로 사외이사 중 이사회 의장을 선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에셋그룹은 미래에셋자산운용 외에 미래에셋대우·미래에셋생명 등에도 3월 말까지 이사회 의장제를 도입해 외부인사를 선임할 예정이다. 현재 미래에셋대우 사외이사에는 황건호 전 금융투자협회장, 변환철 전 일홍 대표변호사, 김병일 현 강남대 세무학과 부교수, 정윤택 전 효성 재무본부장이 등이 있고 미래에셋생명은 길종섭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회장, 김경한 컨슈머타임스 대표이사, 이부근 전 농협중앙회 상무, 권준일 전 외환은행 부행장보 등으로 구성돼 있다.

16판)미래에셋그룹 계열사 이사진


금융권에서 SD로 불리는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과 박 회장과의 인연도 새삼 주목되고 있다. 1999년 미래에셋증권(037620) 설립을 준비하던 박 회장은 당시 금융감독위원회 법규총괄과장이었던 김 위원장의 조언을 듣는다. 금융당국에 로비를 하려던 박 회장에게 김 전 위원장은 “공무원들에게 밥 한 끼 사지 않아도 증권사 만들 수 있다. 당신처럼 젊은 사람에게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미래가 달려 있으니 열심히 해서 꼭 성공하기 바란다”고 말했고 박 회장은 2007년 낸 자서전 ‘돈은 아름다운 꽃이다’에서 “밤샘으로 눈이 벌겋게 충혈된 김 전 위원장의 한 마디에 가슴 한구석이 뭉클했다”고 회고했다. 이후 2010년 박 회장은 재정경제부 차관에서 퇴임한 김 전 위원장을 미래에셋자산운용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당시 두 달 만에 김 전 위원장이 금융위원장으로 영전하며 사외이사 재임 기간은 4개월로 짧았지만 두 사람은 인연을 이어가며 김 전 위원장 퇴임 이후 고위공직자 취업제한 기간인 2년이 끝나자마자 2015년 3월 다시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