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벼랑끝 한국외교]美 바이든, 日 아베에 전화...한일 갈등 중재 노력

-바이든, 아베에 '상황악화 자제' 주문

-NYT 사설 “한일 위안부 합의 미국 정부가 중재...무너지게 둘수 없어” 등 중재 무게

한국과 일본이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문제로 갈등을 빚자 미국이 한일 양국 사이에서 중재 역할에 나섰다.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이 지난 6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전화를 걸어 부산 소녀상과 관련한 일본의 조치에 대해 상황악화 자제를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 소식통은 8일 “바이든 부통령이 그 같은 우려를 전달하기 위해 아베 총리에게 먼저 전화를 했으며, 통화는 일본 측이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의 소녀상 설치에 항의해 주한대사 일시 귀국 등 관련 조치를 공식 발표하기 전에 이뤄진 것으로 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바이든 부통령은 지난 2013년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관련해서도 일본에 강경한 입장을 취한 것으로 전해진 바 있다.

바이든 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소녀상을 둘러싼 한일간 갈등 격화가 한미일 안보협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서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오는 20일 미국 행정부가 교체되는 상황에서 미국의 이같은 중재 노력이 지속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도 6일(현지시간) 사설을 통해 한일 위안부 합의가 유지돼야 한다는 견해를 보이며 한일 양국을 중재하는데 무게를 뒀다.

이 신문은 6일(현지시간) ‘끝나지 않은 위안부 문제(No Closure on the ’Comfort Women‘)’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지금 요구되는 것은 (한일) 양국과 미국이 2015년 12월 합의가 무너지도록 내버려둘 수 없음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현재 상황을 진정시키기 위한 일치된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탄핵소추안 가결에 따른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정지, 그리고 아시아 정책이 불분명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앞둔 현시점에서 이것이 ‘무리한 요구’인 점을 인정하면서도 “아무것도 안 하는 데 따르는 위험은 자명하다”고 지적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